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017707.jpg
KCI등재 학술저널

천지명양수육재의범음산보집 판본고

Xylographic consideration of the chenjimengyangsurukjeyi-bemyimsanbogib

  • 214

본고는 조선시대 불교 의례를 총 집성한 천지명양수육재의범음산보집을 판본 고찰한 것이다. 이 텍스트와 유사한 불교 의례집은 당시에 더러 간행되었으나 지환스님이 2권본, 3권본으로 편찬을 한 것은 천지명양수육재의범음산보집뿐이다. 그러나 이 책은 후대에 중간 또는 개간되면서 다른 판들이 섞여 들어가거나 아예 빠져버려 편찬 당시의 정본은 물론이고 정본을 확정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6종류의 천지명양수육재의범음산보집을 소개하고 이 책에 있는 서.발문을 통해 불완전한 간기 문제를 해결하고 지환이 편찬할 당시의 정본을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6종류의 판본 중 지환집이 지환이 편집할 당시의 판본으로 간기가 강희 60년 신★(1721) 구월 일 경기 양주지 삼각산 중흥시 개판이라고 적혀 있으나, 묘년(1723)에 석실 안이 쓴 범음산보서와 같은 해에무용 수연이 쓴 신간범음집산보서, 그리고 계묘맹하에 월주 자수와 계파 성능이 쓴 발문을 통해 실제로 책판을 찍어낸 시기는 경종 3년 1723년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