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017707.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문 월의 종류에 대하여-학교 문법의 경우

A Study on the Kind of Sentence in Classical Chinese

  • 102

본 논문은 한문의 월의 분류 기준과 그에 따른 월의 종류를 우리말의 월의 분류와 그에 따른 월의 종류에 맞세우고, 여기에 다시 중국학자들의 월의 분류와 그 종류를 참조하여 설정하고, 그것들의 됨됨이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문의 월도 우리말과 꼭 같이 크게 짜임새에 따른 월과 말할이의 들을이에 대한 의향에 따른 월, 그리고 서술어의 판단형식에 따른 월의 셋으로 나누어진다. 짜임새에 따른 월은 다시 완전한 월과 불완전한 월로 나뉘어지고, 완전한 월은 또다시 단문과 복문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복문은 거기서 다시 연합문과 포유문으로 나뉘어진다. 말할이의 들을이에 대한 의향에 따른 월은 다시 설술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의 넷으로 나누거나, 여기에 감탄문을 첨가하여 다섯으로 나눌수 있는데, 글쓴이는 감탄문을 따로 설정하기로 하였다. 왜냐면 현재 우리 말 학교문법에서도 또 중국학자들도 감탄문을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서술어의 판단형식에 따른 월은 다시 월의 서술어 구실을 하는 품사에 따라 무었이 어찌하다 월, 무엇이 어떠하다 월, 무엇이 무엇이다 월로 나뉘어진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