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정보격차에 대한 논의는 소득수준, 교육정도, 그리고 이에 따른 직업과 세대, 성별에 의한 격차연구가 대부분이고 정부의 정책적 대응도 이러한 격차해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논문은 정보격차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과의 격차문제는 지난 16대대통령 선거의 중요 이슈중 하나로서 부각된바 있으며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은 노무현 대통령의 12대 국정과제로 설정될 정도로 다양한 수준에서의 정책적 처방이 필요한 상황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 불평등이 경제, 사회적 불평등의 원인이 될수 있음을 감안하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정보격차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제반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대한 실증분석의 결과 양 지역간에 정보격차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컴퓨터 보유현황 등 정보기반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격차가 존재한다.즉 컴퓨터 보유에서는 10% 포인트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인터넷 접속률도 12% 포인트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양 지역간의 정권의 격차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 기존에 정보격차의 원인으로 제시되었던 학력, 소득, 그리고 성, 연령등의 변수를 통제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에는 정보기반이나 정보이용 면에서 상당한 수준의 격차가 있음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격차의 원인은 제한된 컨텐츠의 문제와 제한된 망효과를 들 수 있으며 정보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히 가장 취약한 계충으로 분석된 비수도권 저소득층 주민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