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혼여성 미용사들의 직업만족도가 가족환경 변인과 직업환 경 변인에 의해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고찰할 목적으로 20세부터 49세까지의 기혼여성 미용사 15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조사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혼여성 미용사들의 직업 만족도 실태는 어떠하며, 둘째, 가족환경 및 직업환경에 따라서 그들의 직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 미용사들의 직업만족도는 직무 특성 영역(적성부합여부, 일에의 자부심, 기술적 향상, 재량권 인식)에 대한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근무조건(근무시간, 근무환경, 임금)의 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둘째, 가족환경의 변인 중에 연령, 가사조력자 유무, 월 평균 소득은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직업환경 변인 중에서 미용실에서의 근무기간과 직책, 그리고 12시간 이하의 근무는 직업만족도를 상승시키는 역 할을 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기혼여성 미용 사들의 직업만족도는 미용사로서의 지위와 개인적 자원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미용사로서 경력이 많고 미용실을 독자적으로 경영할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았다. 직업만족도의 네 가지 영역 중 직무특성 영역이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근무조건 영역이 가장 낮았다. 그러므로 기흔여성 미용사들은 자기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재량권을 높이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결과 및 해석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