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防潮堤 築造에 따른 土砂擴散 豫測

Preestimation of Soil Diffusion Caused by a Construction of Tidal Embankment

  • 19
커버이미지 없음

백령도 간척공사에 따른 방조제 축조로 인하여 해양환경의 변화가 예상되는 바, 특히 그중에서도 공사에 따른 토사의 확산과 해수유동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유동과 토사확산 농도예측을 위하여 해역에서의 운동방정식과 연속방정식, 확산방정식을 차분화하여 계산하여 보았다. 해수의 흐름은 창조시에는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낙조시에는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흐르며 이때의 유속은 0.6~1.1m/sec의 빠른 유속을 보였다. 토사분포는 공사지점에서 50~100ppm, 형제바위 부근에서 6ppm, 정암부근에서 0.5ppm을 나타내었는데, 운동방정식, 연속방정식, 확산방정식을 차분화하여 구한 모델은 미시적인 관점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는 전반적으로 잘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A numerical prediction of the tidal current and the survey of ocean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idal current around the island of Paengnyong. The measurement of velochy and the direction of the tidal current are in accord with the numerical prediction. The measurement of the density of soil diffusion and area of it are similar of the numerical prediction model. In case of flood tide, the density of soil thickly distributed to the direction of Hyeong-je rock and Jeong-am rock. The density of soil are as follows: Tbe site of construction; 5~100ppm, the around of Hyeong-je rock; 6ppm, and the around of Jeong-am; 0.5ppm.

서론

결론

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