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의 선물가격 변동성과 비대칭성 분석:GARCH, EGARCH, TARCH 분석

  • 186

본 연구는 한국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코스닥 선물가격 (KSQ106), 국채 선물가격(KTB106), 미국 달러선물가격(USD106), 그리고 금선물가격(GOLD102) 자료를 사용하여 선물가격의 변동성에 대한 여러가지 GARCH 분석을 하였다. 코스닥 선물가격의 변동성은 GARCH효과가 없었으며, 코스닥 선물거래량은 당기의 선물가격에 유의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처럼 나타났다. 국채 선물가격의 변동성을 GARCH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ARCH계수는 유의하지 않았고 GARCH계수의 유의성은 대부분 나타났다. 그리고 전기와 당기의 선물거래량은 모두 국체선물가격 변동성에 영향을 주고 유의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달러 선물가격은 ARCH계수와 GARCH계수의 유의성이 모두 나타나, 당기의 달러 선물가격의 변동이 미래시점의 달러 선물가격의 변동에 상당히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달러선물거래량은 달러선물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금선물가격은 GARCH효과가 없었고 금선물거래량은 금선물의 가격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ARCH 모형과 EGARCH 모형을 설정하여 추정한 결과, 코스닥 선물가격(KSQ106)과 금선물가격(GOLD102)은 레버리지 효과와 비대칭성 효과가 없는 반면, 국체 선물가격(KTB106)에는 비대칭성 효과가 나타났고 미국 달러선물가격(USD106)에는 레버리지 효과와 비대칭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주제어 : 변동성, 비대칭성, GARCH, TARCH, EGARCH 주제 분류 : F3, G0

This paper examines the volatility and leverage effects of Korea's futures prices using the recent data on KSQI06, KTBI06, USD106, and GOLDI02 of Korea Futures Exchange. This paper uses the historical volatility test and GARCH tests to analyze the volatility, and uses the TARCH and EGARCH tests to analyze the leverage effects and asymmetric effects of economic news. To summarize we have the followings: Firstly, the futures prices of KSQI06 and KTB 106 do not have the appreciabe GARCH effects. Secondly, the futures price of USD106 has the GARCH effects and the ARCH effects. In addition, the current volatility of USDlO6 has the persistent effect on the future volatility of USDI06 in the long run. Thirdly, the futures prices of GOLD102 do not have the GARCH effects. Finally, there do not exist the leverage effects and asymmetric effects of economic news in the futures prices of KSQIO6 and GOLD102, but there seems to exist asymmetric effects of economic news in the futures prices of USDl06. Key words: volatility, asymmetry, GARCH, TARCH, EGARCH

1. 서언

2. 선물가격의 변동성 모형

3. 실증분석

4. 요약 및 결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