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숨겨진 선택: 기혼여성노동자의 일과 자녀양육

  • 943

경제활동과 출산이 상호 대체하는 정도는 각 사회가 제공하는 경제활동의 기회와 양육지원의 체계에 따라서 달라진다. 우리나라는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직장생활과 자녀양육을 동시수행하고 있는 기혼여성 응답자의 58.4%는 자녀출산과 양육의 문제로 인하여 직장생활의 중단을 고려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상당수의 여성은 직장생활을 위하여 자녀출산 회수나 시기를 조정하고 있다. 조사시점까지 이러한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양육과 직장생활을 동시수행하고 있는 여성은 1/4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기혼여성의 직장생활에 대한 애착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인 기혼여성노동자들은 '직장인'으로써의 강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고, 직장생활에 대한 애착 면에서 볼 때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뒤지지 않는다는 해석이 가능하였다 이틀은 가족과 사회가 출산 ·양육의 문제를 적극 지원해 준다면 가능한 한 오래 직장생활을 하고 싶다는 의견을 강하게 피력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여성이 일방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출산과 양육의 문제는 여성으로 하여금 공정한 경쟁의 장으로 나아갈 수 없게 만드는 현실적인 장애물이다. 첫째, 양육책임이 여전히 개인화되어있다. 이제 기혼여성노동자의 양육문제는 더 이상 개별 가정의 안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제도적인 뒷받침으로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할 문제라는 인식은 널리 확산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이러한 요구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성별분업은 여전히 공고하며 이러한 성역할의 분리 하에서 여성의 역할은 매우 과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substitution between paid work and child care for women depends on the job opportuniti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child care support system of the countries. Korean women have great difficulties in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58.4% of female workers with child care responsibilities answered that they have considered to quit their jobs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child care. Many women tends to adjust the number and/or the timing of childbirth just due to their jobs. Only one over four working mothers do not express those problems. On the other hand, job attachment of working mothers appears to be very strong. Working mothers express strong identities as workers, and wish to stay in their jobs longer if the child care problem is solved. The unfair responsibilities of child care for women is real obstacle for them to compete and to survive in the labor market in Korea. Child care responsibilities are still individualized. They believe that the child care issue is about the reproduction of the society and that all the society share the responsibilities. However, institutionalized level of child care support is quite low in Korea.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설문조사 방법 및 응답자의 특성

4. 숨겨진 선택

5. 직장생활에 대한 애착

6. 문제의 원인과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

7.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표> 기혼직장여성 유형별 분포와 기본 특성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