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농촌지역 여성의 생활양식과 건강상태

  • 151

농촌여성의 일반적 특성, 건강과 관련된 생활양식 및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건강상태에 위해요인으로 작용하는 특성 및 생활양식을 지적하여 건강증진사업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조사'결과(2002년 11월 중순~12월 중순) 410명의 여성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농촌여성의 평균 연령은 48.5세(표준편차 18.7세)였으며 연령분포가 18세~l00세로 나타났고, 학력은 '무학'이 33.7%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상태는 '기혼'이 71.5%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농어업'이35.1%로 가장 많았으며 종교는 없는 비율이 40.0%였고, 종교가 있는 여성 중에서는 '기독교'가 28.5%로 가장 많았다. 건강과 관련된 생활양식은 운동율이 14.4%이었으나, 운동을 할 때 숨찬 운동을 한다는 여성은 8.8%만이었다. 수면시간은 평균6시간 37분(표준편차 1시간 27분)으로 나타났는데, 50.5%만이 수면이 '충분하다'고 응답하였다. 음주율은 40.7%, 흡연율은 2.7%였고, 흡연태도는 신체적 건강 4.1±.67점, 정신적 건강 3.0±.99점, 장점 2.4±.81점, 단점 4.1±.71점으로 담배의 폐해가 신체적 건강, 단점, 정신적 건강, 장점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로는 피로도(3.83±.85), 주관적 건강상태(3.07±.82), 건강 걱정도(3.33±.87)로 나누어 보았으며, 이들 모두 성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p<.001수준에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생활양식과도 관련이 있었는데, 주관적 피로도는 생활양식 중에서 수면충분도(p<.0001)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규칙적 운동(p<.0001), 수면충분도(p<.0001) 및 음주(p<.05)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건강걱정도는 수면충분도(p<.0001)와 음주율(p<.01)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변수와의 상관관계는 수면충분도, 학력과 경제사정이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수면시간은 경제사정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농촌여성의 생활양식을 건강한 습관으로 전환하는 건강증진사업을 강화하면 건강상태가 다소 양호해질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ife style and health status of the women in rural area,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life style. The subjects were 410 women residents in Muan-Gun area and were selected using a stratified multistage probability sampling method.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questionnaire of the National Health Survey 1998, and smoking attitude scale developed by Kim(1987).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 or F test, and regression using SPSS/WIN program. For subjects' life style, 14.4% of the subject answered exercise regularly and occasionally, 8.8% of the subject only regularly. 2.7% of the subject smoker, 40.7% of the subject drinker, and the score of smoking attitude that point of physical health was 411±.67, point of psychological health was 3.0±.99, merit point was 2.4±81, demerit point 4.1±.71. The degree of fatigue status, self-rated health status, degree of worried about health that of the rural women were measured on a 5 scale and the each score was 3.33±.85, 3.07±.82, and 3.33±.87 point. Factors such as gender(p<.001), age(p<.001, p<.0001), level of education(p<.05, p<.0001), and pattern of family(p<.01, p<.001)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rated health status and degree of worried about health. Degree of sleeping(p<.0001), exercise regularly(p<.0001), drink rate(p<.01 or p<.05) of the life style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degree of fatigue status, self-rated health status, degree of worried about health. The findings show that women are more vulnerable and need to be motivated to perform healthy behavior, and appropriate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to promote health of women in rural area.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