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論文>共同住宅의 新築工事와 리모델링공사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환경영향물질 배출량 산정연구

A Study on the Embodied Energy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a Newly Constructed and Remodelled Apartment Housing

  • 65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의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과 확산은 건축물의 라이프사이를 과정에서 자원, 에너지 사용을 저감하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건축물 라이프싸이를 각각의 단계에서 자원 · 에너지 소비랑,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의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건축물의 건설, 유지관리, 철거 등의 라이프싸이클에서 에너지 · 자원 등의 투입과 환경영향정도를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평가하는 방범으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 LCA)가 제시되고 있다. 전과정평가(LCA)는 라이프싸이클 과정에서 에너지 · 자원의 투입과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산성우 등외 환경영향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건축물은 건설, 사용 및 유지관리, 철거 ·해체의 라이프싸이클을 가진다. 신축공사는 건축를의 라이프싸이클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는 단계이다. 리모델링은 건축물의 사용과정에서 기능 혹은 성능변경이 향상시키거나 건물의 용도를 변경하는 등의 유지관리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축공사 혹은 리모델링공사에서는 투입되는 건축자재 및 재료, 혹은 공종에 따른 자원· 에너지 소비와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질소화합물, 황화합물 등의 지구온난화 물질 배출, 건설폐기물의 배출 등이 발생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신축공사와 리모델링공사에서 수행되는 건축공사, 토목공사, 기계 ·전기설비공사의 목록분석을 통해 나타난 각각의 공종별 내재에너지(embodied energy)와 이산화탄소, 황화합물 등의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건축공사는 에너지 소비랑, 환경영향물질 배출에 말은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가운데 특히, 화학적인 공정을 거치는 건축자재와 재료가 많이 사용되는 미장공사, 수장공사 등의 공종이 에너지 소비, 환경오염물질 배출에소 처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연구결과에서 제시하고 있는 에너지 소비원단위,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 황화합물 배출원단위를 통해 建築計劃時 에너지 소비와 環境影響程度을 가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建築計劃時 에너지 소비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황화합물 배출량을 산정하는 기초단위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1. 서론

2.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목록분석기법

3. 에너지 소비량과 환경영향물질 배출량 산정

4. 결론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