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우리나라 벼 근권으로부터 분리한 Azospirillum 균주의 미생물학적 특성

Isola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zospirillum from the Rhizosphere of Oryza sativa L. in Korea

  • 7
커버이미지 없음

경기도, 충청남도 일원의 벼 근권에서 400~900nmol $C_2H_4/hr/vial$의 아세틸린 환원 활성을 갖는 질소고정균인 Azospirillum 15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분리균주들은 $1.0{\times}3.0{\mu}m$크기를 갖는 vibrioid 형태이었으며 액체배양시 monopolar single 편모를 가졌다. 이 분리균주들은 생리적, 형태적 특성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는데, 그룹 I 균주들은 탄소원으로 glucose를 잘 이용하였고 biotin 요구성인 반면, 그룹 II 균주들은 glucose를 전혀 이용하지 못하였고 biotin 비요구성이었다. 또한 semisolid 무질소 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할 때 그룹 I 균주들은 원래의 vibrioid 형태에서 좀 더 길어지면서 S자 모양으로 변하는 pleomorphic 특성을 보인 반면, 그룹 II 균주들은 원래의 모양과 운동성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그룹 I 균주들은 Azospirillum lipoferum으로, 그룹 II 균주들은 Azospirillum brasilense으로 동정하였다.

Fifteen strains of the nitrogen fixer Axospirillum were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rice collected from Kyonggi-do and Chungcheongnam in Korea. They had strong acetylene-reducing activity of 400 of 900 nmol $C_2H_4$ per hour vial had a similar morphology in succinate-malate medium: vibrioid cells having a diameter of 1.0 ${\mu}m$ and a monopolar single flagellum in liquid media. According to their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y were divided into two distinct groups, group I and group II. Group I strain were, unlike group II, distinguished by their ability to use glucose as a sole carbon source in nitrogen-free medium, requirement for biotin, and formation of wider, longer, and S-shaped cells in semisolid nitrogen-free malate medium. On the basis of their characteristics, strains belonging to group I were identified as Azospirillum lipoferum, while those belonging to group II were identified as Azospirillum brasilens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