芍藥(Paeonia lactiflora Pall.)의 子葉組織으로부터 體細胞胚發생을 통한 식물체 獲得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Vol.24 No.5
-
1997.01291 - 294 (4 pages)
- 0
작약의 체세포 조직배양에 의한 기내증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완숙종자의 접합자배를 배양하여 얻어진 유묘의 자엽으로부터 체세포 배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대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부위에 관계없이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높은 캘러스 형성률을 나타내었지만 체세포배는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2,4-D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자엽을 배양했을 때는 경우는 27.2%의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다. NH$_4$NO$_3$가 3.3g/L첨가된 배지에서 접합자배배양으로 얻은 자엽을 NH$_4$NO$_3$1.65 g/L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체세포배발생률이 80.0%로 가장 높았다. 탄소원의 경우, 30~40 g/L의 sucrose나 40 g/L의 fructose가 참가된 배지에서 체세포배발생률이 높았다. 자엽은 15~30일 간격으로 3~9회 새배지로 이식한 것이 39.6~41.4%의 높은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으며, 자엽에서 얻어진 체세포배는 0.3 mg/L의 GA$_3$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39%의 상배축신장율을 나타내었다. 체세포배에서 발아한 유묘의 상배축휴면 타파를 위해서는 4$^{\circ}C$에서 3주 이상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direct embrogenesis from the cotyledon derived zygotic embryo culture of Paeonia lactiflora Pall. Different peony tissues derived from zygotic embryos were cultured on MS medium with and without 2,4-D. Somatic embryos were formed from the cotyledons cultured on the medium without 2,4-D. The somatic embryogenesis from cotyledons was promoted in the growth regulator-free MS medium containing 1.65~3.3 g/L $NH_4NO_3$ and 30~40 g/L sucrose. The maximum frequency (80.0%) of somatic embryo 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cotyledons excised from zygotic embryos that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3.3 g/L $NH_4NO_3$. Epicotyl and roots were elongated from a somatic embryo by adding 0.3 mg/L GA$_3$ in the medium or the cold treatment at 4$^{\circ}C$ more than three weeks at 4$^{\circ}C$.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