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착성 HeLa 세포의 탈리 유도에 의한 다공성 미립담체의 담체간 전이 배양
Bead-to-Bead Cell Transfer by Induction of Detachment of Anchorage Dependent HeLa Cells Grown on Macroporous Microcarriers
- 한국생물공학회
- KSBB Journal
- Vol.13 No.1
-
1998.0183 - 89 (7 pages)
- 0
Cellulose로 만들어진 다공성 미립담체를 이용하여 HeLa cell을 working volume 100mL의 spinner flask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가 완전히 자란 미립담제를 계대배양하기 위하여 담체간 세포 전이 배양 방법을 시도하였다. 부유세포의 농도는 다공성 미립담체-HeLa 시스템의 경우에 담체간 세포 전이 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으며, 낮은 칼슘농도의 배지인 RPMI-1640과 빠른 교반 속도를 이용하여 활성을 유지한 많은 세포가 떨어지도록 유도하였으며, 담체간 세포 전이 배양을 효과적으로 3회 이상 실시할 수 있었다. 이렇게 배양한 세포에 재 조합 Vaccinia virus를 감염하여 그 수율을 비교한 결과 T-flask에서 떼어낸 세포로 접종한 미립담체 배양과 거의 비슷한 재조합 단백질($\beta$-galactosidase) 수율을 나타내었다. Trypsin 처리 방법에 의한 미립담체 계대 배양도 경우에 따라서는 유용한 미립담체 계대 배양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실제 생산 규모에의 적용에는 공정이 복잡해지고 정확한 제어가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비용이나 공정이 필요 없는 간편한 방법인 담체간 세포 전이 배양은 동물세포 배양을 이용한 유용 단백질 및 바이러스 생산 공정의 규모 증대에 매우 유용한 수단이다.
Using a cellulose macroporous microcarrier, HeLa cells were cultivated in 100mL spinner flask(Bellco Co., USA) and confluent cell laden microcarriers were subcultured by bead-to-bead cell transfer method. In macroporous mcirocarrier-HeLa system viable suspended cell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ead-to-bead cell transfer and that could be increased by use of RPMI-1640, a calcium-ion-reduced-media and high speed agitation. Successful bead-to-bead cell transfers were performed continuously three time in spinner flask. We applied this technique to produce recombinant Vaccinia virus which express $\beta$-galactosidase. Recombinant protein yield of bead-to-bead transferred culture was comparable to conventional microcarrier cultures that were inoculated by cells detached from T-flask. Although trypsinization is a useful method for subculturing microcarriers in some cases, that process adds quality control problem and handling steps to large scale cell production. There fore, bead-to-bead cell transfer technique offers another convenient and efficient scale-up method for continuous microcarrier cultur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