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김치로부터 분리된 우세 균주들의 in vitro 항유전 독성효과

Antigenotoxic Effect of Dominant Bacterial Isolates from Kimchi in vitro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우세 발효균들의 집락을 분리하고, 발암원인 MNNG에 대하여 이들 분리주들이 갖는 DNA 손상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서 세포의 DNA 손상 및 복구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매우 신속하고 감도가 높은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SCGE 법, 또는 comet assay)를 사용하였다. 배추김치에서 분리한 3개의 분리주중에서 B-3를 제외한 B-1과 B-2는 양성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항유전 독성효과를 나타내었으며(p<0.01), 율무김치의 3 개의 분리주(Y-1, Y-2, Y-3)와 1개의 분리주(Y-4)도 각각 항유전 독성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p<0.01). 총각김치의 5 개 분리주중에서 3개의 분리주와 깍두기의 9개의 분리주중에서 2 개의 분리주들도 각각 항유전 독성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p<0.0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the colonies of dominant fermented bacteria from Kimchi (Korean native fermented foodstuffs) and investigate their inhibitory potentials on mutagenesis and carcinogenesis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as direct carcinogen. For this purpos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technique (SCGE assay, or comet assay) which is a sensitive and rapid techniqu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DNA strand breaks in individual cells was used. DNA damages of Kimchi isolates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MNNG. Among 3 isolates from Tongbaechu Kimchi, two isolates B-1 and B-2 showed antigenotoxicities (p<0.01). All 4 isolates from Yulmu Kimchi had antigenotoxicities (p<0.05). Also, 3 of 5 isolates from Chonggak Kimchi and 2 of 9 isolates from Kaktugi were antigenotoxic (p<0.05 and p<0.01, respectivel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