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가시톡토기 과 (곤충 강: 톡토기 목)의 문제 2아속의 계통분화
Phylogenetic Study of Two Problematic Subgenera of Tomoceridae (Insecta : Collembola) from Korea
- 한국동물분류학회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Vol.15 No.1
-
1999.0111 - 25 (15 pages)
- 0
가시톡토기 과에서 분류학적으로 문제되는 2아속 3종의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 형태형질 및 효소유전자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형질분석과 효소의 분석에서 서로 다른 계통수가 만들어졌다. 형태형질분석에서는 아속간에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효소분석의 경우 아속간에 확실히 구분되었으며 유전적 차이도 매우 컸다. 그러나 이들 계통수들은 distance method나 분지분석방법에서 모두 같은 분지순서를 나타냈는데 특히 형태형질분석의 경우에 형질평가방법과 형질비평가 방법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같았다. 본 연구 결과 어떤 중요한 형태적인 형질이 효소분석에서 처럼 유전적 분화를 나타내면 강렬한 분류형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wo problematic subgenera of Tomoceridae (Collembola, Insecta) were investigated for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allozyme study from three relevant species. Different dendrograms were obtained obtained between morphological and allozyme studies. The morphological data did not give rise to any result distinctive enough to separate the two subgenera whereas the allozyme analysis produced a clear separation by the high genetic distance value. They were consistent, however, whether given rise to by using distance or cladistic methods and also whether character weighting or unweighting approaches employed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 analysis. As a consequence,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any prominent morphological trait might work as a good taxonomical character when supported by a strong genetic divergence as evidenced by allozyme analysis for instanc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