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의 성과평가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Theoretical Study of the Public Library Performance Measurement
- 한국문헌정보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Vol.33 No.2
-
1999.0145 - 67 (23 pages)
- 1
국내의 공공도서관들은 도서관조직의 성과에 대해 외부의 평가는 물론 자체적인 평가작업도 거의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에 따라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성과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시급하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성과평가 이론의 발전과정을 살피고, 이론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 실정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이 지표들은 공공도서관의 자료, 직원, 이용자 봉사, 시설, 예산${\cdot}$운영관리 등 5개 영역에서 총 62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표들 이외에도 일선 도서관에서 자체적으로 심층적인 성과 측정을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보다 다양하고 질적인 평가지표들이 제시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recent survey, it was reported that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had seldom conducted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the public library performance. This study, therefore. has investigated the wide range of existing literature o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analyzed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problem of measuring public library performance. The performance indicator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62 indicators and fall into five domains, such as materials, staff resources, user services, facilities, budget and management. Besides, some indicators are suggested to be used in cases where a more detailed examination is required - usually when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n individual librar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