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흰 제비꽃 (Viola patrinii DC) 배양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다양한 현탁배양 방법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Vol.27 No.3
-
2000.01155 - 161 (7 pages)
- 0
야생 흰 제비꽃 (viola patrinii DC.)의 callus로부터 분열 활성이 높고 균일한 세포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현탁배양 방법이 세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ompact callus의 세포생장을 위해서 배지의 종류를 MS, B5, R2, White배지로 나누어서 실험한 결과 MS배지와 R2 배지의 callus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White배지를 사용시에는 횐 callus에 붉은 색소 (시코닌계 색소)가 생산되었다. 무기염의 농도에서는 생체중은 MS 기본배지에서 건물중은 1/2 NH$_4$NO$_3$, 1/2 KNO$_3$가 가장 좋았다. 배지중의 NH$_{4}$$^{+}$ 와 HO$_{3}$$^{-}$ 농도비를 100:0, 75:25, 50:50, 25:75, 0:100로 한 결과 25:75의 비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NH$_{4}$$^{+}$ 의 농도가 낮아질수록 세포에 붉은 색소가 생성되는 경향을 보였다. Casein Hydrolysate (CH)의 농도가 세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5 g/L 첨가시 생체중, 건물중 모두 높았다. 조직학적 관찰에 있어서는 2~4주간 된 callus는 대부분의 세포의 크기가 작고 세포질이 농후한 상태로 비교적 균일한 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액포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세포의 분열이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고, 6주간 배양된 callus는 신장되고 액포화된 세포들이 많이 관찰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culture medium on cell growth of the viola (Viola patrinii DC.) suspension cul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greatest cell growth rates were found with MS medium suggesting that this medium could be recommendable for the viola suspension cell culture. When the nitrogen sources (NH$_4$NO$_3$ and KNO$_3$) of MS salts were diluted at half concentrations, the cell growth rates were slightly increased, but when the combined concentration rations of NH$_4$+ and NO$_3$ions were 25 to 75 the greatest cell growth rates were obtained. This result imply that the nitrogen ion sources had slight influence on the rates. Another feature was obtained. This result implys that the nitrogen ion sources had slight influence on the rates. Another feature was that as the concentration of NH$_4$+ ion lowered, the callus color changed to pale yellow with some red spots. The addition of casein hydrolysate (5 g/L) was more effective for the cell growth. On the basis of microscopic observation, the highest cell growth rates were detected during 2-4 weeks culture and after 6 weeks of the culture, some elongated and vacuolated cells were determin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