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지 조성이 Haematococcus pluvialis의 생장과 Astaxanthin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um Copositions for the Growth and the Astaxanthin Production of Haematococcus pluviali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Vol.29 No.4
-
2001.01227 - 233 (7 pages)
- 6
고부가가치의 천연 astaxanthin의 생산을 위한 Haematococcus pluvialis의 고농도 배양을 수립하기 위하여 세포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과 세포 내 색소를 증가시키는 방법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춰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Hongkong Medium (HKM) Modifed Bolds Basal Medium (MBBM) Modified Bristols Medium(MBM) Proteose-petone Medium (PPM) BG-11 Medium의 여러 배지를 사용하여 비교함으로서 배지 내 탄소원 질소원과 미량원소 등이 세포의 생장과 astaxan-tin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HKM 은 $2.0$\times$10^{6}$ cells /mL의 세포 농도와 최고 6.14 mg/g cell의 astaxanthin content per cell 로 다른 배지 중 가장 높게 나타나므로 세포 농도를 높이기위해서 질소우너이 220 mg/L 인 HKM이 적당하고 색소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aggregation이 일어나 단위 세포당 astaxanthin 함량이 9.7 mg/g cell 로 높게 나타나는 MBBM이 월등함을 알수 있었다. H. pluvialis의 최적 배양 온도와 pH를 선정하깅 nl하여 $20^{\circ}C$ $25^{\circ}C$, 3$0^{\circ}C$ 온도와 pH 4.5 6.0 7.5 의 배양조건을 수립한 결가 pH $7.5 20^{\circ}C$와 $25^{\circ}C$에서는 세포생장과 색소 형성이 우수함을 관찰 할 수 있었고 배양에 적당한 20 $^{\circ}C$ 에서 배양하다가 $30^{\circ}C$로 24시간 배양항 heating 효과를 주면 astaxanthin 축적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수있었다. PPMso의 질소원과 proteose-peptone의 고갈시세포의 생장의특성과 astaxanthin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control 배지에서 세포 농도와 세포의 건조질량이 각각 $0.98$\times$10^{6}$ / cell /mL 와 0.2 g/L astaxanthin의 농도는 1.92 mg/L 단위 세포당 astaxanthin 농도는 9.6 mg/g cell 로 관찰되었다결론적으로 질소원과 peptone이 고갈되면 세포의 생장은 억제되나 astaxanthin의 생산은 촉진됨을 알수 있었으며 세포 생장을 촉진하는 광도 60$\mu$E/($\m^2$s)와 HKM 배지 이용의 1단계와 높은 광도와 MBBM배지를 이용한 색소 생산의 2단계 배양을 최적조건으로 수립하였다.
To maximize astaxanthin (3,3'-dihydroxy-$\beta\beta$'carotene-44'-dione) production by high density Haematococcus pluvialis cultures, various, media were examined Among tested media, \`Hong Kong Medium and Modified Bolds Basal Medium showed the best result for cell growth ( $2.0$\times$10^{ 6}$cells /mL) and for astaxanthin content per cell (9.7 mg astaxanthin mg/g cell), respectively, Maximum astasanthin concentration of 6.1mL was obtained at pH 7.5, $20^{\circ}C$~$25^{\circ}C$ Deficiencies of nitrogen source($NaNO_3$ and proteose-peptone) found to simulate astaxanthin formation Relatively low light inten- sity of $60\mu$E ($\m^2$s) was sutiable for vegetative cell growth while higher light intensity was required for higher astaxanthin accumula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