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궁(Cnidium officinale)의 휘발성 향기성분 및 유리기 소거활성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nidium officinale
- 한국식품과학회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Vol.34 No.2
-
2002.01330 - 338 (9 pages)
- 0
건조방법이 다른 신선, 열풍건조, 동결건조 천궁(Cnidium officinale)을 대상으로 전자코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 분석 및 GC/MS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메탄올 및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상온 및 환류 추출로 얻어진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활성을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조방법이 다른 천궁의 휘발성 향기 패턴을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주성분 분석에서 제1 주성분값에 의해서 신선한 천궁과 건조시료간에 판별이 가능하였다. GC/MS에 의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신선한 천궁이 총 85종의 성분으로 가장 많은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열풍건조 시료가 64종, 동결건조 시료가 73종으로 신선, 동결건조, 열풍건조 시료순으로 확인 성분의 수가 많았던 반면, 총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은 동결건조 시료가 784.15 ppm으로 가장 높았고, 신선한 시료가 643.64 ppm, 열풍건조 시료가 218.15 ppm으로 열풍건조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았다. 천궁의 주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인 탄화수소류 및 phthalide류의 함량도 동결건조(383.70 ppm, 235.98 ppm), 신선(376.21 ppm, 134.05 ppm), 열풍건조(122.22 ppm, 69.00 ppm) 시료 순으로 확인되었다. 각 처리군에서 butyl phthalide, neocnidilide, 3-n-butyl phthalide 등의 phthalide류 및 sabinene, ${\beta}-selinene$, myrcene, ${\alpha}-pinene$, $trans-{\beta}-farnesens$, ${\gamma}-terpinen$ 등의 terpene류가 천궁의 주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향기성분은 서양요리에 쓰이는 셀러리의 주요 향기성분과도 유사하였다. 천궁 추출문의 유리기 소거활성을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동결건조 천궁의 methanol 상온추출물 500 ppm이 49.79%로 가장 높은 유리기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동결건조 시료의 ethanol과 methanol 상온 추출물은 250 ppm 이상의 농도에서 $25\;{\mu}M$농도의 ${\alpha}-tocopherol$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유리기 소거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류 추출의 경우는 상온추출물보다 유리기 소거활성이 낮았으며 동결건조 천궁의 ethanol 환류 추출물 500 ppm은 34.71%의 유리기소거 활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natural spices and functional foods using Cheongung (Cnidium officinale) which is one of the Korean medicinal plants. The volatile flavor patterns of Cnidium officinale were detected by electronic nose with 6 metal oxide sensors,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nidium officinale were isolated by simultaneous steam-distillation extraction with pentane and diethylether (1 : 1), and essential oils were analyzed by capillary GC and GC/M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Cnidium officinale was measured by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compared with ${\alpha}-tocopherol$ as referenc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e difference of principal components between fresh and drying samples. Eighty-five volatile flavor components (643.64 ppm) from fresh Cnidium officinale were identified and the major components were butyl phthalide, sabinene, neocnidilide. Sixty-four volatile flavor components (218.15 ppm) from hot air dried one were identified and the major components were butyl phthalide, sabinene, 3-N-butyl phthalide. And 73 volatile flavor components (784.15 ppm) from freeze dried one were identified and the major components were butyl phthalide, sabinene, ${\beta}-seline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cold extract (500 ppm) of freeze dried Cnidium officinale was higher than other samples. And methanol and ethanol cold extracts (above 250 ppm) of freeze dried sample were higher than ${\alpha}-tocopherol$ $25\;{\mu}M$ (22.34%).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