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채소의 용매분획 추출물들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y Solvent Separation on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0
커버이미지 없음

용매분획에 의한 콩나물, 미나리, 무의 추출물들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A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이 추출물들은 알코올로 추출한 것을 용매분획에 의해 수용성 분획물과 유기성인 염기성, 산성, 중성, 페놀성 분획물들을 얻었다. 수용성 분획물들은 유기성 분획물들 보다 ADH 활성을 훨씬 높게 촉진시켰다. 수용성 분획물인 콩나물, 미나리, 무의 촉진율은 각각 125.75%, 104.94%, 87.63%를 나타냈다. 염기성, 산성, 중성의 분획물들에서 염기성 분획물이 약 40%로 가장 높았고 다른 분획물들은 25% 이하로 나타났으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페놀성 분획물들 역시 ADH 활성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다. 따라서, 이 분획물들을 ADH 활성 촉진에 이용할 때는 무기물, 아미노산 등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용성 분획물들을 이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bean sprout (Glycine max), dropwort (Oenathe javanica) and radish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by solvent separation on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in vitro were investigated. The extracts were obtained from alcohol extracts of bean sprout, dropwort and radish, followed by solvent separation. Aqueous fractions facilitated much higher ADH activity than organic fractions. The facilitating rates of bean sprout, dropwort and radish in aqueous fractions were 125.75%, 104.94% and 87.63%, respectively. Basic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facilitating rate with about 40%. Also other fractions showed below 20% facilitating rate and didn't show great difference from organic fractions. Phenolic fractions didn't show great effect on ADH activit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