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소만 조간대에서 인의 시공간적 분포
The Distribution of phosphorus in the Gomso Bay Tidal Flat
- 한국해양학회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Vol.7 No.3
-
2002.01171 - 180 (10 pages)
- 3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에서 인의 각 형태에 대한 시공간적인 분포와 관련 환경 인자를 조사하였다. 퇴적물 내 총인(TP), 입자성무기인(PIP), 총유기인(TOP), 용존무기인(DIP)의 곰소만 전체 평균 함량은 각각 548.8mg P kg$^{-1}$, 426.1mg P kg$^{-1}$, 122.6 mg P kg$^{-1}$, 0.217 mg P kg$^{-1}$로써, TP 중 차지하는 순서는 연중 변화 없이 PIP>TOP>DIP이었다. TP는 여름과 겨울간에, 수평적, 수직적으로 일관된 변화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줄포천 하구에 위치한 조간대 퇴적물에서 높은 TP가 발견되었다. 시기적으로 대부분의 정점에서 8월에 TOP 농도가 높게 나타나 TP중 28.90%를 차지하는 반면, TIP는 71.10%를 차지하고, 11월에는 반대로 TOP가 15.63%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TIP가 84.38%를 차지하였다. DIP의 농도 자체는 낮지만, 뚜렷한 계절적인 변화를 보였다. DIP는 모든 정점에서 8월이 11월 보다 3배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11월에 비하여 8월 조사기간 동안 퇴적물 내 함유된 유기물의 절대적인 농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높은 수온에 의하여 수층의 일차생산력이 증가하고, 따라서 상층수에서 퇴적물로 공급되는 절대적인 유기물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유기물의 분해율 또한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공극수 내 DIP의 농도가 증가되었을 것이다. 여름철 퇴적물의 표층 하에서 혐기성 조건이 조성되어 퇴적 입자에 흡착되었던 PIP의 일부가 낮은 pH, Eh환경에서 용존 상태로 전환된 부분도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 내 인의 분포는 일차적으로 줄포천과 같이 생활하수가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곳에서 높은 TP 농도를 보였고, 시기적으로 PIP와 DIP는 강한 계절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 이는 주로 하절기 높은 수온과 유기물 함량이 여타 다른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phosphoru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Gomso Bay, Korea. TP, PIP, TOP and DIP in sediment were found 548.8mg P kg$^{-1}$ , 426.1mg P kg$^{-1}$ , 122.6mg P kg$^{-1}$ , and 0.217mg P kg$^{-1}$ , respectively with a decreasing order of PIP>TOP>DIP. Any temporal or spatial trend has not been found on the distribution of TP in the sediment, except the high TP values near the mouth of Julpo-chun. We found seasonal patterns high TOP(28.90% of TP) and low TIP(71.10% of TP) in August, but low TOP(15.63% of TP) and high TIP(84.38% of TP) in November. There were three times higher DIP concentration in August than in November. Such case is probably not only due to the enhanced supply of DIP directly from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from overlying water in summer, but also the released phosphate from the adsorbed particulate matter such as PIP under the low pH and Eh conditions at the subsurface layers of the sediment induced by the active microbial respiration of increased organic materials in summer. Primarily, the source of phosphorous from municipal sewage strongly influenced the early stage of the distribution of all the phosphorous in the Gomso tidal flat. Notwithstanding, through the processes of diagenesis in sediment, water temperature and organic contents probably functioned as the key parameters to control the temporal distributions of TOP, TIP and DIP in the Gomso tidal fla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