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고콜레스테롤혈증 가토의 죽상경화성 병변에서 Interleukin-6와 Interleukin-18의 변화 및 Matrix Metalloproteinase-9과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의 발현

Expressions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 with Changes of Interleukin-6 and Interleukin-18 in Atherosclerotic Lesions of Hypercholesterolemic Rabbits

  • 0
커버이미지 없음

죽상경화증은 지방, 대식세포나 평활근세포와 같은 세포, 그리고 extracellular matrix(ECM)의 점진적인 축적이 특징적인 만성 염증성 혈관 질환이다. Matrix metalloprotenases(MMPs)와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TIMs)는 죽상경화증에서 혈관의 ECM의 분해와 재모델링에 관여하며, cytokines는 MMPs와 TIMPs의 합성이나 활성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으로는 체중 2.0~2.5 kg의 생후 1개월 된 뉴질랜드산 수토끼를 선택하였으며, 10 마리는 12주 동안 1% 콜레스테롤 식이를 투여한 후 실험군으로 이용하였으며, 나머지 10마리는 표준 실험실 식이를 먹여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12주간 사육 후 토끼를 희생시켰으며, 생존한 실험군 9 마리와 대조군 10 마리의 대동맥과 관상동맥에서 H&E 염색, 면역조직화학 염색, immunoblotting, bioassay의 방법으로 MMP-9, TIMP-2, IL-18의 발현 및 IL-6의 생물학적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실험군의 혈청 콜레스테롤은 1258$\pm$262mg/dL로 대조군의 41$\pm$7mg/dL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험군의 전예에서 대동맥과 관상동맥에 죽상경화반이 잘 형성되었으며, 실험군의 대 동맥 내막의 두께는 0.31$\pm$0.1mm로 대조군의 0.01mm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죽상경화반에서 실험군의 MMP-9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내막의 파열이나 관상동맥의 내강 폐쇄가 있었던 증례에서는 더욱 강한 MMP-9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TIMP-2는 실험군의 일부에서 약한 발현을 보였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측정한 IL-6의 생물학적 활성도는 각각 4819.60$\pm$2021.25, 27.20$\pm$12.19IU/mL로서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면역조직화학 염색에 의한 IL-18의 발현은 대조군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전예에서 발현을 보였다. 결론: MMP-9의 증가된 발현과 TIMP-2의 무변화로 인한 MMPs/TIMPs의 불균형은 죽상경화성 병변에서 ECM의 분해와 경화반의 불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내막의 파열이 관찰된 증례에서의 더욱 증가된 MMP-9은 경화반의 파열과 관련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L-6의 생물학적 활성도의 증가 및 IL-18의 발현은, IL-6와 IL-18이 죽상경화증의 표지자일 뿐만 아니라 MMP-9의 분비 또는 활성화에 관여하여 죽상경화증의 진행과 경화반의 불안정성 등에 활발히 참여하는 cytokines임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보인다. MMPs, TIMPs, cytokines등의 조절 과정을 밝혀내는 것은 죽상경화증의 세포, 분자적인 병리기전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며, 죽상 경화증의 치료 또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기전을 확립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therosclerosi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rterial wall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accumulation of lipids, cells, and extracellular matrix.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TIMPS) contribute to vascular matrix remodeling in atherosclerosis, and some cytokines may play role in the synthesis or activation of MMPs or TIMPs. Material and Method: We produced experimental atherosclerotic plaques in 9 rabbits by atherogenic hypercholesterol diet for 12 weeks, and 10 other rabbits were used as control group with standard laboratory chow, At that time, 19 rabbits were sacrificed and aorta, coronary arteries and blood specimens were prepared. The expressions of MMP-9, TIMP-2 and interleukin(IL)-18, and the bioactivity of IL-6 were investigated with H&E stain, immunohistochemical stain, immunoblotting(Western blot analysis), and bioassay. Result: Serum cholesterol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up to 1258$\pm$262 mg/dL(control group: 41$\pm$7 mg/dL). All experimental group showed well-developed atherosclerotic plaques in aorta and coronary artery. The expression of MMP-9 in aorta and coronary arter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y immunohistochemistry.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complicated lesions with intimal rupture or complete luminal occlusion, demonstrated stronger expression of MMP-9. Interesting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pression of TIMP-2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were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bioassay revealed significant up-regulation of serum bioactivity of IL-6 in the experimental group(4819.60$\pm$2021.25 IU/$m\ell$) compared to that of IL-6 in the control group(27.20 $\pm$ 12.19 IU/$m\ell$). IL-18 was expressed in all atherosclerotic plaques, whereas little or no expression was detected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increased MMP-9 expression along with the unchanged TIMP-2 expression seem to be contributory factors in extracellular matrix degradation in atherosclerosis. Focal overexpression of MMP-9 may promote plaque destabilization and cause complications of atherosclerotic plaques such as thrombosis with/without acute coronary syndrome. Elevation of IL-6 and IL-18 may be more than just markers of atherosclerosis but actual participants in lesion development. Identification of critical regulatory pathway is important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ellular and molecular basis of atherosclerosis and may open the way for novel therapeutic strategi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