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마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Vol.32 No.3
-
2003.01406 - 412 (7 pages)
- 0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의 생리 활성과 기능성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빵의 제품화 가능성을 탐색할 목적으로 다시마 가루를 2.5%,5%, 7.5%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식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적절한 다시마 가루의 첨가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마 가루를 첨가한 반죽의 제빵 적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도 27$\pm$1$^{\circ}C$, 상대 습도 75%의 발효 조건에서 90분간 반죽의 발효팽창력을 측정한 결과, 다시마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팽창력 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5% 다시마 첨가 수준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발효팽창력을 나타내었다. 다시마 가루 첨가 식빵의 부피는 다시 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2.5% 다시마 첨가시까지는 부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시마첨가 식빵의 무게는 크게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7.5% 첨가시에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식 빵 내부의 명도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를 의미하는 a값은 다시마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다시마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께 따라 증가하였다. 즉, 다시마 가루를 첨가할수록 명도는 줄어들고, 적색이 감소하면서 황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조직감을 보면 다시마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견고성, 부서짐성은 증가하였으나 점착성, 탄력성, 응집성은 다시마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20대 여대생과 50대 주부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두 집단간에 다시마 가루 첨가 식빵에 대한 기호가 유의적으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대생의 경우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감소하였으나 2.5% 다시마 첨가군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 반면 50대 주부들의 경우에는 2.5% 다시마 첨가한 식빵에 대한 평가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5% 다시마 첨가에서도 대체적으로 대조군과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시마 가루를 2.5% 첨가한 식빵을 제품화하면 일반적인 식빵에 비해 다시마의 생리 효능을 활용하면서 소비자들의 높은 호응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Laminaria powder. Three different powder concentration levels of 2.5%, 5% and 7.5% were added to flour to make the bread. The puffing rate, density, color, and texture were analyze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nd housewives in their 50s. The volume of the dough during the fermentation and the final volume of the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dough without the powder. While adding the powder to the bread decreased the Hunter L (lightness) and a value (redness), it increased the b value (yellowness). In the texture analyzer measurement, hardness and fracturability of the brea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ng the powder and chewiness tended to increase. However, adhesivenes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As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housewives in their 50s. In all indices of the sensory test, college students evaluated the bread with the powder lower than the bread without the powder, while the housewives preferred the bread with the powder. The bread containing 2.5% Laminaria powder obtained the most excellent score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bread with 2.5% Laminaria powder would be a highly acceptable bio-active product with proper physical characteristic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