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뇌기능 영상을 이용한 외부 산소 공급에 따른 공간 지각 능력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ospatial Cognitive Performance Following Oxygen Administration using fMRI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일반 공기 중의 산소 농도 (21%) 환경에 비해 외부에서 고 농도 (30%)의 산소 공급이 공간 지각 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유발하는지 관찰하고자 한다. 8명의 남자 대학생 (평균 23.5세)을 뇌기능 연구의 실험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21%와 30% 산소 농도를 각각 8L/min의 양으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공간 지각 능력 측정을 위해 20 문항을 포함하는 두 개의 문제지를 제작하였고, 과제 수행 결과로부터 정답률을 산출하였다. 실험 패러다임은 30%의 산소 농도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회기와 21%의 산소 농도에서 과제를 수행하는 회기로 각각 이루어져 있다. 각 회기는 네개의 black으로 구성되고, 각 block은 통제 과제 8문항. 공간지각 과제 5문항을 포함한다. 3T MRI기기를 사용하였고, single-shot EPI 방법으로 뇌기능 영상을 획득하였다. 산소 농도 21%에 비해 30% 상태에서 양측 후두엽 영역, 양측 상두정엽, 양측 하두정엽, 양측 쐐기앞소엽, 양측 중심후이랑 등의 두정엽 영역, 그리고 양측 중간전두이랑, 양측 하전두이랑, 양측 내측전두이랑 양측 상전두이랑, 양측 대상회 등의 전두엽 영역의 활성화가 증가하였고, 과제 수행 결과에서도 산소 농도 21%에 비해 30% 상패에서 정답률이 증가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외부에서의 고농도의 산소 공급이 공간 지각 능력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observe what changes the supply of highly concentrated (30%) oxygen cause to people's ability of visuospatial cognition, compared to air of normal oxygen concentration (21%). This study sampled eight male university students (the average age : 23.5) as subjects for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tudy It also developed equipment that supplies 21% and 30% oxygen) at a constant rate of 8L/min. Two questionnaires containing 20 questions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ability of visuospatial cognition, and accuracy was calculated from the result of task performance. The experiment paradigm consisted of the run conducting tasks at 30%'s concentration of oxygen and another run at 21%'s concentration of oxygen. Each run was composed of four blocks and each block included eight control tasks and five visuospatial taks. 3T MRI was used and fMRI was obtained through the single-shot EPI method. The activation in the occipital-associated area, bilateral superior parietal lobes, bilateral inferior parietal lobes. bilateral precuneus, bilateral postcentral gyri, bilateral middle frontal gyri, bilateral inferior frontal gyri, bilateral medial frontal gyri, bilateral superior frontal gyri, bilateral cingulate gyr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30%'s concentration of oxygen rather than 21%'s. Furthermore, the result of task performance showed the accuracy increased at 30%'s concentration of oxygen rather than 21%'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supply of highly concentrated oxyge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of visuospatial cognit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