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퉁마디로부터 염에 의하여 유도되는 Aldolase 유전자의 분리 및 발현분석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Salt-inducible Aldolase from Salicornia herbacea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Vol.30 No.4
-
2003.01323 - 328 (6 pages)
- 0
토양 내의 고농도의 염은 심각한 환경스트레스 중의 하나로 농작물의 생산을 감소시킨다. 식물은 염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많은 단백질을 합성한다든지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등 여러 가지 생리, 생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퉁퉁마디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염생식물로 갯벌과 염전주위에서 생육한다. 퉁퉁마디의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내염성 기구를 이해하기 위하여 differential display방법으로 NaCl에 의하여 발현이 증가되는 cDNA들을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하나인 ShADL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ShADL은fructose-1, 6-bisphosphate aldolase와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이 유전자는 1293bp길이에 35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추정되는 분자량은 39 kDa이었다. ShADL단백질은 애기장대의 aldolase와 86%의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염생식물인 com-mon ice plant의 adolase와는 78%의 유사성을 보였다. Northern 분석결과, ShADL 유전자는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il salinity is one of the most serious abiotic stresses limiting the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crops. To cope with salt stress, plants respond with physiological, developmental and biochemical changes, including the synthesis of a number of proteins and the induction of gene expression. Salicornia herbacea is a halophytic plant that grows in salt marshes and on muddy seashor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biochemic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salt tolerance in S. herbacea, we isolated several genes that involved in the salt tolerance by mRNA differential display. Here we report the cloning of a cDNA encoding fructose-1, 6-bisphosphate aldolase, named ShADL, which is 1293 bp long and contains an open reading frame consisted of 359 amino acids with calculated molecular mass of 39 kDa. ShADL protein showed 86% identity with Arabidopsis and 78% with aldolase of common ice plant.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nscript of ShADL gene was increased dramatically depending on the NaCl concentration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