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특성변화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ndera obtusiloba BL. Leaf Teas by Manufacturing Process
- 한국식품영양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Vol.16 No.4
-
2003.01365 - 371 (7 pages)
- 0
본 연구는 독특한 맛과 향이 있는 생강나무 잎을 이용하여 제조 방법에 따른 잎차의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인공건조차가 6.71%로 가장 높았고 찐후덖음차가 5.18%로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발효차가 15.33%로 가장 높았고 덖음차가 8.3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제차방법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탄닌 함량은 찐후 덖음차가 3.29%로 가장 높았으며 발효차가 2.26%로 가장 낮았다. 생강나무잎차의 비타민 C 함량은 덖음차에서 37.17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찐차가 16.70 mg/100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제조방법에 따른 무기질함량의 차이는 없었지만, K, Na, Mn, Ca, Fe, Mg, Zn 순의 함량으로 나타났다. 생강나무잎차의 냄새, 맛등 전체적 기호도는 찐후 덖음차가 다른제조방법에 비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강나무의 잎차의 제조방법은 기호성과 영양성이 비교적 우수한 찐후 덖음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was analy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dera obtusiloba eaf teas by various manufacture methods. Moisture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tea processed by air dry method, and the lowest in the tea roasted after steaming. The contents of soluble solid was higher in the fermented tea than in the others, and the lowest in the roasted tea. The content of tannin was the higher in the roasted after steaming tea than in the others, and the lowest in the fermented tea. The content of vitamin C was the higher in the roasted tea than in the others, and the lower in the steamed tea. The mineral contents of leaf teas was orderly K, Na, Mn, Ca, Fe, Mg, and Zn. The roasted after steaming tea was estimated to the most excellent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leaf tea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