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공기커마와 물 흡수선량에 기반한 프로토콜간의 비교
Comparison of Air Kermabased and Absorbed Dose to Waterbased Protocols in the Dosimetry of High Energy Electron Beams
- 한국의학물리학회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Vol.14 No.4
-
2003.01249 - 258 (10 pages)
- 0
흡수선량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공기커마 혹은 조사선량 표준에서 물 흡수선량 표준으로 선량측정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프로토콜에서 물 흡수선량 기반의 프로토콜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입장에서 현재 임상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IAEA TRS277과 물 흡수선량 표준에 토대를 두고 있는 IAEA TRS398 및 AAPM TG51 프로토콜에 대하여 동일한 기준깊이에서 물 흡수선량을 측정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Varian 2100 C/D 선형가속기로부터의 세 종류의 전자선 에너지에 대해 PTW 30002 원통형 이온함과 Markus 및 Roos 평행평판형 이온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60}$Co에서의 공기커마 및 물 흡수선량 교정정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받아 사용하였다. 공기커마 표준에 기반한 프로토콜과 물 흡수선량 표준에 기반한 프로토콜간에는 2% 이내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사용자 기관에서는 자체적인 확인을 거쳐 공기커마 기반의 프로토콜에서 물 흡수전량 기반 프로토콜로의 전환을 적극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물 흡수선량 기반의 프로토콜간에는 원통형 이온함의 경우 0.5% 이내에서 잘 일치하였고 평행평판형 이온함의 경우에도 고 에너지 전자선을 이용한 교차 교정을 하면 0.7% 이내에서 잘 일치하였다. 사용한 모든 프로토콜과 전자선 에너지에 대해 원통형 이온함과 평행평판형 이온함간에는 2% 이내의 차이를 보였으나 선량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 흡수선량 표준에 기반한 프로토콜의 권고에 따라서 하한에너지 이하의 전자선의 경우는 원통형 이온함 대신에 평행평판형 이온함을 사용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A few years ago, a proposal was made to change the dosimetry from the air kerma-based reference dosimetry to the absorbed dose-based reference dosimetry for all radiotherapy beams of ionizing radia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dosimetry. Here, we present a dosimetry study in which the two most widespread absorbed dosebased protocols (IAEA TRS398 and AAPM TG51) were compared with an air kermabased protocol (IAEA TRS-277) by measuring the absorbed dose in the same reference depth.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three clinical electron beam energies using a PTW 30002 cylindrical chamber, and Markus and Roos planeparallel chambers. $^{60}$ Co calibration factors were obtained from the KFDA. The absorbed dose differences between the air kermabased and absorbed dosebased protocols were within 2.0% for all chambers in all beams. The results thus show that the obtained absolute dose values will be not significantly altered by changing from the air kermabased dosimetry to the absorbed dosebased dosimetry. It was also shown that absorbed dose values between the absorbed dosebased protocols agreed by deviations of less than 0.5% for a cylindrical chamber and less than 0.7% for planeparallel chambers using crosscalibration factors. Although the use of a cylindrical chamber and planeparallel chambers resulted in a difference of less than 2% for all situations investigated here, to reduce errors, the planeparallel chambers are recommended for electron energies in which the use of cylindrical chamber is not permitted in each protocol.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