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고 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흰쥐에 있어서 녹차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Green Tea in Cholesterol-Fed Rats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녹차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및 녹차 추출물인 catechin과 EGCG가 hypocholesterolemic 효과에 미치는 정도를 식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한 흰쥐에서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4주령의 수컷 SD계 흰쥐를 난괴법에 따라 각 군당 5마리씩 무녹차섭취군(대조군), 4% 녹차분말군(GTP), 1% 녹차 catechin군(Catechin),0.5% 녹차 EGCG군(EGCG)의 4군으로 7주간 사육을 하였다. 녹차 첨가군은 모두 0.5% EGCG를 함유하도록 녹차 첨가량을 결정하였으며 모든 식이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기 위하여 1% cholesterol과 0.5% cholic acid를 첨가하였다. 식이섭취량은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 총 및 LDL-콜레스테롤 수준은 Catechin군이 189.2 mg/dL, 166 mg/dL, EGCG군에서는 161.4 mg/dL, 138 mg/dL로 나타나 대조군(245 mg/dL, 222 mg/dL)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p<0.05), EGCG군에서 그 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혈청의 중성지방농도는 녹차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EGCG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녹차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HDL/LDL-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녹차섭취군에서 증가하여 EGCG군에서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녹차의 섭취가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감소하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킴으로써 동맥경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 간에서의 CYP7Al활성과 유전자 발현정도는 Catechin군, EGCG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EGCG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여 혈청에서의 지질수준 감소 경향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들은 녹차 섭취군에서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특히 EGCG군에서의 현저한 hypocholesterolemic 효과는 CYP7Al 유전자 발현 및 효소의 활성증가에 따른 콜레스테롤의 담즙산으로의 배설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Green tea, which is high in polyphenols, is thought to have hypocholesterolemic effect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further elucidate the hypocholesterolemic actions of green tea, specially the 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for their effects on the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a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with green tea-free diet (control), diets containing 4% green tea powder (GTP), 1.0% green tea catechin (catechin) or 0.5%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for 7 wks. All diets that were provided green tea contained approximately 0.5% EGCG Hypercholesterolemia was induced by adding 1% cholesterol and 0.5% cholic acid to all die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ood intake among groups. The green tea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acylglycerides and atherogenic index in the following order; EGCG>Catechin>GTP (p<0.05). The serum HDL-cholesterol level was highest in the EGCG-treated group. The catechin or EGCG diet up-regulated by 5 times the enzyme activity of hepatic cholesterol 7$\alpha$ -hydroxylase (CYP7Al) compared to control diet (p<0.05). Hepatic CYP7Al mRNA level paralleled tile increases in the CYP7Al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GCG in the green tea may account for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by the induction of CYP7Al gene express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