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ural Dyeing using the Colorants extracted from American Fleabane (Part II) - Dyeing properties on cotton -
- 한국의류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ol.28 No.12 Serial No.138
-
2004.011625 - 1631 (7 pages)
- 0
개망초로부터 추출한 색소의 면 섬유에 대한 염색성을 조사하였다. 염색조건과 매염처리가 염착량(K/S값)및 CIELAB 색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염색한 시료의 견뢰도를 측정하여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망초 색소의 면 섬유에 대한 친화력은 높지 않았으며, Freundlich형의 등온흡착곡선을 보여 염착이 주로 수소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 또는 후매염처리 방법보다는 전매염처리 방법이 염차량 증진에 더 효과적이었으나, 주석매염제를 제외하고 매염제에 의한 염착량 증진효과는 크지 않았다. 매염처리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는 Y계열의 색상을 나타내어 큰 변화는 없었다. 모든 시료의 세탁견뢰도는 낮았으며 , 땀 및 마찰견뢰도는 매우 양호하였으며 매염 처리가 견뢰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yeing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by American fleabane extract. Effect of dyeing condition on dye uptake and effect of mordanting on dye uptake, color change and colorfastness were explored. Its affinity to cotton fiber was considerably lower than wool, and its hydrogen bonding was involved in the absorption of American fleabane colorants to cotton fiber. K/S value of premordanting was higher than sim-mordanting or post-mordanting. Except that Sn mordanted showed high K/S value, it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American fleabane produced mainly yellowish color on mordants and mordanting method. Cotton fabrics showed generally high colorfastness except colorfastness to washing.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