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력(Bambusae Caulis in Liquamen)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 Vol.11 No.3
-
2004.01373 - 382 (10 pages)
- 0
재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죽력의 생리활성 효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항산화활성 및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과 in vivo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선효능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n vitro에서, Rancimat로 측정한 항산화활성은 죽력 1.25희석액과 원액은 대조구보다 높았고, HMG-Co A reductase저해활성은 죽력 원액이 57.9$\%$이었고 1.25희석액은 36.0$\%$이 었다. 2. In vivo에서, 6주에서 죽력 투여로 체중증가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둔화되었고, 식이효율은 감소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으며, 간장/체중 비율은 실험군간에 유의성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죽력 저용량투여군의 총콜레스테롤량은 대조군에 비하여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고용량투여로 대조군보다 약 17$\%$정도 감소되었고, 중성지질량은 죽력 투여로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6$\%$, 39$\%$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고용량 투여군은 정상군보다 낮았으며, 인지질량은죽력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는 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 었다. LDL-콜레스테를 농도는 고콜레스테롤식이 급여로 정상군보다 약 41$\%$ 정도 증가되었으나 죽력투여로 대조군보다 각각 12$\%$, 20$\%$씩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고용량 투여군은 정상군의 농도에 근접하였으며, 죽력 투여로 HDL-콜레스테롤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상승되었으나 유의적인 효과는 아니었고, 죽력투여로 저하된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비는 대조군보다 약 48$\%$가 높아졌으며 동맥경화지수는 약 26$\%$가 낮아졌으나 유의성있는 변화를 나타내지는않았다. 고콜레스테롤식이 급여로 증가된 유리콜레스테를 농도는 고용량투여로 26$\%$가 감소되어 유의성있는 변화를 나타냈으며, 고콜레스테롤식이 급여로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농도는정상군에 비하여 약 96$\%$이상의 증가를 나타냈으나 죽력 고용량 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32$\%$정도 감소되었다. 고콜레스테롤식이 급여로 간 중 총콜레스테롤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죽력 저용량 투여는 증가된 총 콜레스테롤량을 감소시키지 못했으나 고용량 투여로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저하시켰으며, 중성지방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고콜레스테롤식이 급여로 상승된 ALT활성은 죽력투여로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ALT 및 ALP활성은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죽력이 in vitro에서 높은 항산화활성과 HMG-Co A reductase 활성을 유의하게 저해시켰고, in vivo에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군보다 총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를 및 중성지질농도 등은 감소시켰으며, HDL-콜레스테롤, 인지질 농도 등은 증가시킴으로써지방간 및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effects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BCL)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HMG-CoA reductase of in vitro,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the high cholesterol diet in vivo.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l00$\pm$10 g were devided into five groups ; normal group(NOR), the high cholesterol diet administered group(1 $\%$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CON), 5$\%$ BCL administered group (5BL), the high cholesterol diet and 5$\%$ BCL administered group (5BCB) and the high cholesterol diet and 10\$\%$ BCL administered group (10BCB), respectively. I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CL using Rancimat in vitro, 1.25 diulent and original solution were more excellent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in inhibiting activities of HMG-CoA reductase, BCL was shown inhibitory effect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dose dependent manners, especially 57.9$\%$ in original solution and 36.0$\%$ in 1.25 diulent. The growth rate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wheras the group given 5$\%$ BCL and 10$\%$ BCL were gradually decreased, especially the most excellent effect in 10$\%$ BCL.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levels of H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were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BCL administered group was increased in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and lowered antherogenic index. The activities of AST in serum were rather lowered in the BCL administration group than the cholesterol diet group, but not in ALT and ALP. The hepatic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were lowered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but not in triglyceride. Therefore, it might be expected that BCL is believed to be a possible protective or curative effects for fatty livers and hyperlipidemia-induced by a hi~h cholesterol die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