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치자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 및 Melanogenesis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Gardenia Frui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 0
커버이미지 없음

치자 열매 추출물로부터 미백제 개발을 위해 항산화, 항균, 항암 등 생리활성을 가지는 치자로부터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와 B16F10 melanoma cell을 이용한 melanogenesis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Tyrosine을 기질로 사용하여 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용매 및 증류수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효소 저해활성을 실험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 ($81.5{\pm}1.6\%$)이 증류수 추출물 ($62.7{\pm}0.4\%$)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tyrosinase 효소활성 저해율은 다른 유기용매 분획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99.7{\pm}0.1\%$나타내었으며, 현재 tyrosinase 저해제로 개발된 arbutin ($97.8{\pm}1.2\%$)과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B16F10 melanoma cell을 이용한 melanogenesis 억제 효과에서도 에탄올 추출물이 증류수 추출물보다 우수한 억제활성을 보여 주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을 사용하였을 경우, melanogenesis 억제 효과가 다른 분획물보다 현저히 우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치자 추출물의 미백원료로서 사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o determine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gardenia fruit was extracted initially with $95\%$ ethanol (w/v),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subsequently with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in that order.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n tyrosinase activity was higher than water extract. When 10 mg/mL of ethyl acetate fraction was applied, the inhibition ratio of tyrosinase activity was much higher ($99.7{\pm}0.1\%$) than that of arbutin.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using B16F10 melanoma cell, the ethanol extract also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 than water extract.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of melanogenesis was also shown in ethyl acetate fraction ($89.1{\pm}1.4\%$ at the cone. of $100\;{\mu}g/mL$). These results suggests that gardenia extracts might be used to be a potential agents for whitening.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