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직$\cdot$간접적 영향 연구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Family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Reading Skills at Kindergarten Entry
- 대한가정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ol.43 No.10 Serial No.212
-
2005.0139 - 53 (15 pages)
- 2
본 연구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정교육활동 및 유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다변수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미국 학령기 유아발달에 관련된, 가장 큰 자료중 하나인,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Kindergarten Cohort(ECLS-K)이다. 구조적 인과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부모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성, 가정내 아동양육활동,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유아의 읽기 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는 주로 가정내 책읽기활동을 통해, 아동에게 영향을 미쳤다. 또,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정내 책읽기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모의 유치원 준비도에 관한 교육신념에 의해 매개되었다. 다시 말해, 사회경제적 지위는 유아의 읽기 능력을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 간접적으로는 부모의 교육신념을 통하여 가정내 읽기 활동을 예측하였고 다시 가정내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을 연쇄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여러 경로를 통해 유아의 읽기 능력과 관련되었음을 보여주며, 사회경제적 지위가 읽기 능력 및 학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가족관련 매개변수를 연구에 포함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tested a multivariate model of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family Socioeconomic Status (SES) on children's early reading skills at kindergarten entry. The data used here are from one of the largest national databases in the USA,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Kindergarten cohort (ECLS-K).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a number of factors within parental characteristics, home practices, and SES come together to influence children's early reading skills. SES operated primarily indirectly through home literacy activities and also directly in influencing reading. In addition, parental beliefs about kindergarten readines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ES and home literacy activities. Thus, SES influenced early reading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home literacy activities, and simultaneously, through parental beliefs, which in turn, were associated with home literacy activities that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reading. The findings emphasized the multiple pathways through which SES is associated with children's reading and the need to search for other mediators of SES influenc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