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쑥의 생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Artemisia princeps and A argyi
- 한국식품영양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Vol.18 No.4
-
2005.01334 - 340 (7 pages)
- 0
[ $CCl_4$ ]에 의한 실험동물의 간 손상에 미치는 사자발쑥 (Artemisia princeps)과 황해쑥 (A. argyi)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쑥 분말을 투여한 실험동물 혈청의 간 기능 지표 효소인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그리고 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을 측정하였다. $CCl_4$ 단독 투여군에 비해 $CCl_4$와 사자발쑥 혼합병행군은 AST, ALT 및 ALP 활성을 각각 33, 23 및 $19\%$ 감소시켰고 $CCl_4$와 황해쑥 혼합 병행군 역시 각각 37, 33 및 $26\%$ 감소시켰다. 사자발쑥과 황해쑥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한 쑥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성분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사자발쑥 10.2 mg/mL, 황해쑥 4.7 mg/mL로 나타나 사자발쑥의 함량이 보다 많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자발쑥 $6.1\;mg\%$, 황해쑥 $3.6\;mg\%$로 나타나 역시 사자발쑥의 함량이 보다 많았다. DPPH법에 의한 전자 공여능 측정 실험에서 사자발쑥 $19.0\%$, 황해쑥 $24.4\%$로 나타나 황해쑥의 항산화 능력이 다소 높았다. 사자발쑥과 황해쑥의 추출된 휘발성 성분의 조성을 GC/ MS로 분석한 결과, 사자발쑥의 주요 향기 성분은 테르펜류의 $\delta$-3-carene ($2.2\%$)과 알코올류의 nerolidol ($0.9\%$)로, 황해쑥은 알코올류의 eugenol ($1.4\%$)과 에스테르류의 ethyl pentadecanoate ($1.1\%$)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and A. argyi on liver function-related enzymes in rats with $CCl_4$ adminisration. The activities of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nd alkaline phosphatase(ALP) from A. princeps were decreased by 33, 23 and $19\%$,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The activities of AST, ALT and ALP from A. argyi were decreased by 37, 33 and $26\%$, respectively. Total phenol contents were 10.2 mg/mL and 4.7 mg/mL in A. princeps, and A. argyi, respectively. Also, flavonoid contents were $6.1\;mg\%\;and\;3.6\;mg\%$ in A. princeps, and A. ar효i, respectively. Ethanol extract from A. argyi showed higher electron donating ability toward DPPH than A. princeps. A total of 31 volatile components(3 hydrocarbons, 10 terpenes, 5 carbonyls, 8 alcohols and 5 esters) were indentified in A. princeps, and A. argyi.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A. princeps were $\delta$-3-carene($2.2\%$) in terpenes and nerolidol($0.9\%$) in alcohols.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A. argyi were eugenol($1.4\%$) in alcohols and thyl pentadecanoate($1.1\%$) in ester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