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울산지역 퇴적암의 강도 추정법 연구 - 점 하중 강도지수로 일축 압축강도 추정 -

A Review of Strength Estimation Method on Ulsan Sedimentary Rocks

  • 3
커버이미지 없음

암석의 점하중 강도지수($I_{s}$)로 일축압축강도(${\sigma}_{c}$)를 추정함에 있어, ASTM이나 ISRM에서는 암종이나 지질학적 생성과정에 관계없이 직경방향 점하중 강도($I_{s}//$)의 23배(ASTM) 혹은 $20{\sim}25$배(ISRM)로 취하고 있다. 여기서는 경상분지의 울산에서 채취한 연약한 퇴적암의 시험결과로 ${\sigma}_{c}$와 $I_{s}$의 관계를 제시한다. ${\sigma}_{c}$와 $I_{s}$ 시험결과 ${\sigma}_{c}$의 추정값은 선형 회귀분석 보다는 강도비(${\sigma}_{c}/I_{s}$)로 표현하는 것이 추정오차가 적었다. 그리고 약면이 내포된 퇴적암의 강도비는 ${\sigma}_{c}/I_{s}//$보다 ${\sigma}_{c}/I_{s}{\bot}$의 추정오차가 더 작으므로 ${\sigma}_{c}$추정치는 ASTM이나 ISRM에서 제시한 값보다 낮게 취해야 참값에 가까울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In the ASTM and ISRM, an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sigma}_{c}$) has been estimated to be 23(ASTM) or $20{\sim}25$(ISRM) times of point load strength index using a diametral test regardless of the rock rating or geological conditions. This paper presents a relationship between $I_{s}$ and ${\sigma}_{c}$ of a weak sedimentary rocks on Ulsan of the Kyung-Sang Basin in Korea. In the results of 291 for ${\sigma}_{c}$ test and 2310 for $I_{s}$ test from 77 spots, the predicted errors of ${\sigma}_{c}$ determined by strength ratio of ${\sigma}_{c}/I_{s}$ have been relatively less than those determin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in case of weak sedimentary rocks such as mudstones, shales and sandstones, ${\sigma}_{c}$ should be lower than those suggested by ISRM and ASTM.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