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뽕잎 분말과 현미가루가 첨가된 pellet을 이용하여 제조한 뽕잎 팽화과자(뻥튀기)의 특성

Properties of Puffed Mulberry-Rice Snack, Ppeongtuigi by Pellet with Mulberry Leaf and Brown Rice Flour

  • 0
커버이미지 없음

뽕잎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펠릿을 서로 다른 수분 함량(14, 16, 18%), 팽화온도(220, 230, 240$^{\circ}C$), 팽화시간(4, 5, 6초)에서 제조된 뻥튀기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비체적은 수분 함량, 팽화온도, 팽화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고 파괴력은 팽화온도와 팽화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지만 수분 함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중 L값은 팽화온도와 팽화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고 a값과 b값은 팽화온도와 팽화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수분 함량과는 서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수분 함량 18%, 팽화온도 240$^{\circ}C$, 팽화시간 4초에서 제조된 뽕잎 뻥튀기가 제일 높게 나타났고 높은 수분 함량, 높은 팽화온도, 짧은 팽화시간에서 제조된 뽕잎 뻥튀기가 전체적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높은 수분 함량, 높은 팽화온도, 짧은 팽화시간 조건으로 품질 특성이 우수한 뽕잎 뻥튀기를 제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uffed mulberry-rice snack (PMRS) by pellet with mulberry leaf and brown rice flour were evaluated at different temper moisture contents and at varying puffing temperatures. The mulberry pellets were prepared using a food extruder to extrude the dough made from mulberry leaf powder and brown rice flour. The mulberry pellets were tempered to 14, 16, and 18% moisture content and were puffed at 220, 230, and 240$^{\circ}C$ for 4, 5, and 6 sec. The specific volume and breaking strength of PMRS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however, the breaking strength decreased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The Hunter L value decreased as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showing an especially large decrease with increased heating time.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MRS, which has a distinctive flavor and color,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 functional food with the use of a puffing machine and that PMRS shows potential for use as new snack produ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