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DSS로 유도된 염증성 장 질환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생식이 장관 임파조직내 면역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Immunoregulatory Effects of Saengshik on DSS-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Mouse Model System

  • 1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DSS로 유발시킨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생식섭취가 장관 내 면역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생식섭취가 DSS로 유발시킨 대장염에서 normal군보다 IFN-$\gamma$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IL-4와 IL-10의 함량은 감소시킴이 관찰되었다. 또한, 증가된 Th1 세포의 cytokine과 감소된 Th2 세포의 cytokine은 염증이 유발된 후, 생식을 통한 치료로써 변환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DSS로 유발시킨 대장염에서 생식 섭취를 통한 치료는 IL-4와 IL-10과 같은 염증성 cytokine의 억제기능을 통하여 면역시스템을 강화시키고, 손상된 염증을 완화시켜 줄 것으로 판단된다. 생식의 면역조절에 관한 자세한 기전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지만, 염증성 장질환에서 생식섭취가 면역학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양상들에 대한 연구가 더욱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immunoregulatory effect of Saengshik on gut-associated lymphoid tissue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lthough the contents of IgA increased in mesenteric lymph node, IgE content was suppressed by Saengshik. The same results were found in spleen, but IgA and IgE responses were very weak. Concentration of fecal IgA was high from the first day through the third day in Saengshik group. In DSS + Saengshik group, concentration of IgA was high till the 2nd day and it maintained the highest level among the test groups on 5th day. Concentration of IFN-gamma and IL-2 was the highest in the Saengshik group, but the concentration of TNF-alpha was lower in DSS + Saengshik compared to DSS. The expressions of STAT1 in Saengshik group were high, while those of STAT6 were low According to these findings, Saengshik exhibited effectiveness via increasing the IgA production, suppressing the IgE production, followed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IL-4 and IL-10. Saengshik also strengthened the immune system and alleviated injury in DSS -induced inflammat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