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Bacillus subtilis DJI을 이용하여 제조된 세균형 코지와 속성된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acterial-Koji and Doenjang(soybean paste) Made by using Bacillus subtilis DJI

  • 0
커버이미지 없음

전통된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DJI은 다른 Bacillus 속에 비해 균체 생육이 빠르게 진행되어 9시간 만에 생육이 최대값에 이른다. 그 이후 사멸기에 접어들면서 자기소화에 의해 급격한 세포파쇄가 이루어져 포자가 세포외로 방출됨과 동시에 다량의 단백분해효소가 세포 밖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B. subtilis DJI 특유의 생육특징을 이용하여 세균형 코지와 된장을 제조(DJI 된장)하였으며, 제조된장의 숙성 60일 이후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아미노태 질소 507 mg%, 조단백 14.3%, 조지방 4.8%로 식품공전상의 된장규격에 만족하였다. 또한 단백질 구성아미노산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리아미노산의 총 함량이 숙성 30일에는 299.255 mg%에서 60일 이후에는 547.784 mg%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JI 된장과 6종의 가정식 된장의 혈전용해능을 비교한 결과 DJI 된장은 909.7 units/ml, 재래된장은 $363.3{\sim}618.6\;units/ml$로 나타내었다. DJI 된장은 관능적으로도 쿰쿰한 냄새가 거의 없고 구수한 된장향이 났으며, GC/MS를 통한 DJI 된장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재래된장 특유의 쿰쿰한 냄새의 원인물질 (3-methyl-1-butanol, 1-octen-3-ol, butanoic acid)은 적은양 검출된 반면 재래된장 고유의 맛과 향의 원인물질 (benzaldehyde, 2-furancarboxaldehyde, hexadecanoic acid)은 일정량 이상 검출되었다. 현재 식품공전상 된장은 대두나 곡물에 종국을 섞어 제국하여 발효 숙성시키거나, 메주를 식염수에 담가 발효하여 여액분리 후 이를 가공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현재까지 된장은 주로 곰팡이의 단백분해효소에 의한 발효, 숙성물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B. subtilis DJI의 특이한 생육특성에 의하여 이를 사용한 새로운 개념의 세균형 코지제조와 이를 활용하여 재래된장 고유의 구수한 풍미를 지닌 맛있는 된장제조가 2개월 안에 제조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One bacterium with high proteinase production and spore-forming ability wa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doenjang).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based on gram-staining, biochemical properties and l6S rRNA gene sequencing, and designated as B. subtilis DJI. Its growth rate was very fast, and it reached its stationary phase within 9 h, and then started to form spores. Bacterial-koji and doenjang were prepared using B. subtilis DJI. Chemical components of the doenjang were determined after 2 months of aging period: amino nitrogen 507 mg%, crude protein 14.3%, crude fat 4.8% and water 54.9%. The composition of total and free amino acids and their ratios of doenjang were changed during the aging period. Among total amino acids in DJI doenjang,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and arginine were the major amino acids. The fibrinolytic activities of DJI doenjang and traditional doenjangs were 909.7 units/ml and $363.3{\sim}618.6\;units/ml$, respectively. Flavor compounds of DJI doenjang and traditional doenjang were extracted by SDE(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nd analyzed by GC/MS; DJI doenjang possessed the typically favorab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orean doenjang, with reduced off-flavor compound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