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생후 발달과정동안 남성 생식기의 Efferent Ductules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와 Basigin의 발현 양상과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 발현 조절 연구

Expression of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 and Basigin and Estrogen Receptor α(ERα)-Mediated Regulation of MCT1 Expression in The Efferent Ductules of Male Reproductive Trac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남성 생식 기관인 efferent ductules(ED)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 (MCT) isoform과 Basigin(Bsg)의 mRNA 발현을 탐구하고, MCT1의 발현이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생후 여러 연령대의 백서 ED에서 MCT isoform과 Bsg의 mRNA 발현 여부는 real-time PCR에 의해 조사 되었고, 정상 생쥐와 에스트로젠 수용체 α knockout 생쥐를 사용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의 발현 조절 여부는 immunohistochemistry 방법에 의해 간접적으로 알아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백서의 ED에서 MCT1, 2, 3, 4와 8 그리고 Bsg 유전자의 발현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MCT1의 발현이 ED의 ciliated 세포의 basolateral 지역에서 발현되고 어떤 측면에서 ERα에 의해 조절되어 질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MCT가 monocarboxylate의 세포 내, 외부로 운반을 조절함으로써 남성 생식기의 일부인 ED의 역할을 조절하는데 관여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if monocarboxylate transporter(MCT) isoforms and Basigin(Bsg) are expressed in the efferent ductules(ED) and if MCT1 expression is under estrogen receptor(ER)α-regulation in the ED of male reproductive tract. The presence of MCT isoforms and Bsg mRNAs was detected by real-time polymerization chain reaction(PCR), and ERα-mediated regulation of MCT1 expression in the ED was indirectly determined by immuno- histochemistry. Current study fou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MCT isoforms(MCT1, 2, 3, 4, and 8) and Bsg mRNAs in rat ED according to postnatal ages. In addition, comparison of MCT1 expression in the ED between wild type and ERα knockout mice at different postnatal ages showed basolateral localization of MCT1 in ciliated cells of the ED and, in part, ERα- mediated regulation of MCT1 expression. It is suggested that MCTs would play a role in regulation of function of the 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