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제주땃쥐 (Crocidura dsinezumi)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Crocidura dsinezumi

  • 0
커버이미지 없음

제주땃쥐 (Crocidura dsinezumi)의 정자변태과정은 전자현미경에 의해 조사되어졌으며, 이들 정자변태 과정은 핵의 형태적 특징과 세포질내 소기관의 변화에 기초하여 12기, 14단으로 구분되었다. 골지기$(1{\sim}2)$단의 정자세포의 핵은 모두 구형인데 반해 두모기$(3{\sim}6)$단의 정자세포의 핵은 타원형으로 변하였다. 정자꼬리는 첨체중기에서 생성되었으며, 성숙기에는 가늘고 긴 정자두부를 형성하였다. 정자세포의 두부는 1단에서 6단(골지기${\sim}$두모기)까지는 내강을 향하고 있었으며, 7단부터 14단(첨체기${\sim}$이탈기) 까지는 세정관 상피의 기저막 쪽으로 향하고 있었다. 핵과 첨체는 10단에서 각각 최대로 신장되었다. 염색질은 첨체후기 (10 단)에 응축되기 시작하여 성숙중기(12단)에 완전히 응축되고 균질화 되어졌다. 다포체의 출현은 두모중기(5단)에 첨체포 가까이에서 다포체가 출현하며 두모 후기(6단)에 이르러 골지체 가까이 다수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자변태과정은 정자형성세포의 분화 단계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리라 여겨진다.

Spermiogenesis in Japanese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dsinezumi was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permiogenesis was divided into 12 phases 14 steps, based on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nucleus and change of organelles in cytoplasm. The nucleus of spermatids in Golgi (step $1{\sim}2$) phase were spherical; however, they were changed into oval in the cap (step $3{\sim}6$) phase. Flagellum appeared in the middle of acrosomal phase; on the other hand, slender and long spermatid head was formed in maturation phase. The head of spermatids faced the lumen in step 1 to step 6 (from Golgi to cap phase), but, in step 7 to step 14 (from acrosomal to spermiation phase), it turned its head to the basal lamina of the seminiferous epithelium. The nucleus and acrosome were elongated maximally in step 10. The condensation of chromatin started in late acrosomal (step 10) phase, and it was completely finished and homogenized in the middle of maturation (step 12) phase. Multivesicular body appeared near the acrosomal vacuole during the middle cap (step 5) phase, and a large number of them were observed near the Golgi apparatus in the late cap (step 6) phase. Considering all the results, the spermiogenesis might be useful information to analyse the differentiation of spermatogenic fell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