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성과 식사섭취의 관련성;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2005년)
- 한국영양학회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Vol.41 No.2
-
2008.01174 - 183 (10 pages)
- 0
제3기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의 과반수에서 식품확보가 불안정하였으며, 식품안정성은 식사섭취와 관련이 있어 식품확보가 불안정한 군에서 영양소 섭취량이 낮고 섭취 식품의 다양성이 적었다. 본 연구는 우리 국민의 식품안정성과 식사섭취의 관련성에 대한 거의 초기 연구로 식품확보에 대한 안정성의 문제 크기를 파악하고 식품확보 여부에 따른 식사섭취의 양적${\cdot}$질적 측면을 다루었다. 이와 함께 식생활은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식품안정성과 건강 및 질병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에는 저소득층의 안정적인 식품확보를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중인 정책의 효과 평가와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Although food insecurity might be associated with poor dietary intake, this relationship has not been researched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food security with dietary intake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od security was measured by a self-reported hunger measure on the dietary situation of subjects' households in the previous year and approximately 2/3 of the subjects lived in food-insecure households. Dietary intake was based on a 24-hour dietary recall. Food insecur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nutrients intake and nutrients intake compared to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 was also lower among subjects in food-insecure households. Overall diet quality based on dietary diversity score (DDS) was worse in food-insecure subjects. Food security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issue to public health because dietary change due to food insecurity may affect health statu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