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다양한 접근점 기반의 한국화 검색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The Access-Enhanced Search Interface Design for Korean Paintings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디지털 콘텐츠로 변환된 한국화 이미지를 이용자가 원하는 접근점을 이용하여 특정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한국화만이 지니는 형태적 또는 소재적 특징을 이용하여 폭넓게 브라우징 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화 검색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한국화를 설명하기 적합한 상세한 한국화 기술요소 세트(26개의 핵심요소와 172개의 하위 속성요소)를 2차에 걸친 실무자 및 전문가의 검토를 걸쳐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선호하는 한국화검색 접근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공자와 일반이용자로 구성된 300명에게 26개의 기술요소의 검색접근점 선호도에 대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공자와 일반이용자가 접근점으로 가장 선호하는 각각의 15개 기술요소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와 일반인을 위한 한국화검색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이용자 중심의 검색이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서 이용자의 이미지 검색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etrieval interfaces for Korean paintings which support users to retrieve specific digitalized images of them through various access points and to widely browse based on unique features Korean paintings. The study, first, develops a set of descriptive elements suitable for Korean Paintings. Twenty-six core elements and one hundred seventy-two attributes are selected as descriptive items for Korean paintings based on the opinion of 8 experts. Then, to gam realistic evidence of what descriptive elements of image serve users as access points, it is investigated which elements are used as retrieval access points among 26 core elements by 300 peered users who are consisted with two groups such as common users and domain specialists. The study, in final, designs two(general and advanced) types of search interfaces and display interfaces based on the most popular top 15 descriptive elements. This access-enhanced platform which enables user-oriented searches will satisfy users in image retrieving.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