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관련 지식의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ritical factors in Job-Related Knowledge Sharing
- 한국경영정보학회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Vol.10 No.2
-
2008.01179 - 194 (16 pages)
- 0
기업이 계속 존속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이 가진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조직 내의 개인들이 가치 있는 지식을 공유하도록 동기부여하는 최선의 이슈는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지식경영시스템에서 조직구성원들이 지식을 공유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수정기술수용모형에 외부변수로 조직문화와 시스템품질을 추가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제시하고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정기술수용모형은 적용가능성이 입증되었고, 경영층 지원, 보상시스템 및 조직분위기 등으로 측정한 조직문화는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또한 기술요인으로 제시한 시스템품질은 이용편리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은화와 시스템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를 통해 지식공유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토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o ensure continued existence, an organization must develop ways to share the knowledge that is possessed within the organization with the people who need, or who will need, that knowledge. Improving the efficiency of knowledge sharing is a highly desirable goal, but the issue of how best to motivate individuals to share their most valuable knowledge is not yet completely resolved.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sharing model on job related knowledge. Also, it intends to look for the factors that facilitate knowledge sharing among individuals in an organization.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it includes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ttitude and intention to share constructs. Also, two external variables namely organizational culture and system quality were added. However, the actual use was excluded. In the research model, all hypothes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except one, which is the hypothesis that perceived usefulness will positively affect the intention to shar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