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호흡의 환기량에 따른 뇌파의 변화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Alteration by Ventilation Volume of Hyperventilation
- 한국생명과학회
- Journal of Life Science
- Vol.19 No.12
-
2009.011829 - 1835 (7 pages)
- 2
과호흡은 뇌파 측정 시에 사용하는 중요한 부활법 중의 하나이며, 과호흡의 질을 평가하여 결과에 반영하는 것이 진단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과호흡이 제대로 유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환기량에 따른 뇌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쥐를 대상으로 기관 절개를 한 후 삽관하여 인공호흡을 유도하였다. 환기유도 시 조건은 정상 환기량을 160 ml/min으로 하여, 240 ml/min, 300 ml/min의 총 세 군으로 하여, 인공적 과호흡을 유도하였다. 뇌파는 전두부와 두정부에서 측정하였으며 과호흡을 하기 전과 후의 뇌파를 비교하였다. 뇌파는 델타, 세타, 알파, 베타의 네 가지 주파수 영역에서의 파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조직검사 결과, 인공적인 과호흡 유도는 폐조직에 물리적인 손상을 유발하지 않았다. 과호흡을 유도하기 위한 조건인 기관절개술도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호흡은 정상환기량의 약 90%까지 증가하였을 때에 적절한 결과를 보였고, 뇌파는 델타파가 가장 우세하였으며 세타, 알파, 베타 순으로 출현 비율이 높았고, 특히 전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과호흡으로 인한 뇌파의 변화를 살펴보면, 전두부 델타 파워가 12.8%(p<0.01) 증가하였고 전두부의 세타 파워와 알파 파워는 각각 41.3%(p<0.01), 48.6%(p<0.05) 감소하였으며, 베타파워도 41.9%(p<0.05)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전 두부의 뇌파가 과호흡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Hyperventilation (HV) is routinely induced in order to activate brain waves during an electroencephalogram (EE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V conditions on EEG and suggested basic data for the standardized procedure. Three degrees of HV were induced for 5 minutes with a ventilation volume of 160 ml/min (control group), 240 ml/min, and 300 ml/min in rats. Powers of delta, theta, alpha, and beta waves were examined by a quantitative EEG.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wers of all EEG waves between the control and 240 ml/min groups. However, a notable change in EEG powers during HV induced by a ventilation volume of 300 ml/min was observed in the frontal cerebral region as follows: power of the delta was increased by 12.8% (p<0.01), powers of the theta, alpha and beta were decreased by 41.3% (p<0.01), 48.6% (p<0.05), and 41.9% (p<0.05),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an increase of about 90% of the normal ventilation volume might be adequate for the hyperventilation, and a useful parameter for evaluation of the qualified hyperventilation might be an alteration of the frontal EEG power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