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수술 후 환자의 정보 요구
Informational Needs of Postoperative Gastric Cancer Patients
- 대한위암학회
- Journal of Gastric Cancer
- Vol.9 No.3
-
2009.01117 - 127 (11 pages)
- 0
목적: 의료진은 암 환자들에게 적절한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암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과 치료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을 극복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실제 알고자 하는 정보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수술 후 환자의 정보 요구 경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 수술 후 환자로, 2008년 11월 18일 삼성서울병원 위암센터에서 주관한 '위암 환자의 날' 행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190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도구는 검사, 치료, 예후, 추후 관리, 성 생활, 위암 관련 정보 영역과 7개의 단일 문항의 총 3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정보 요구는 예후, 치료 기간 동안 스스로 할 수 있는 건강 관리 방법, 추후 관리, 위암 관련 정보, 치료, 검사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예후, 식이, 치료 중의 건강 관리와 관련한 문항에서 높은 정보 요구를 보였다. 대상자의 연령이 젊을수록 검사, 치료, 성 생활, 위암 관련 정보 영역의 정보 요구가 높았다. 결론: 기존에 축적된 병원의 치료 결과 및 예후 자료에 근거한 객관적인 예후 관련 정보를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하고 암 환자 및 보호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그리고 치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정보를 전달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Adequate health-related information provided by health professionals may help cancer patients overcome their uncertain situation and manage their healthcare. To provide information effectively,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atients' essential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cent informational needs of postoperative gastric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90 postoperative gastric cancer patients who attended the Stomach Cancer Patients' Day ceremony (18 November 2008) held by the Stomach Cancer Center of Samsung Medical Center with the use of a questionnaire which measured informational needs. A questionnaire with 37 items was comprised of domains of diagnostic tests, cancer therapy, prognosis, follow-up, sexual activity, stomach cancer-related information, and 7 single items. Results: The priorities of informational needs were the domains of prognosis, ways of healthcare during treatment (a single item), follow-up, stomach cancer-related information, cancer therapy, and diagnostic tests (in descending order). Items related to prognosis, diet, and management of their healthcare ranked in the top 10 informational need scores. As age decreased, the degree of informational needs about diagnostic tests, cancer therapy, sexual activity, and stomach cancer-related information increased. Conclusion: We suggest that prognosis-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institutional therapeutic outcomes and objective prognosis data should be incorporated in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 Health professionals should provide comprehensible information content to cancer patients and caregivers and encourage patients to participate in their therapy with a more positive attitud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