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Effectiveness of acupuncture-type interventions to prevent nausea and vomiting during and after cesarean delivery under spinal anesthesia : A systematic review

Effectiveness of acupuncture-type interventions to prevent nausea and vomiting during and after cesarean delivery under spinal anesthesia : A systematic review

  • 0
커버이미지 없음

목 적: 이 논문은 제왕절개 분만을 위한 척수마취로 인해 수술 중 또는 그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오심 및 구토에 대한 침관련 치료의 항구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계통적 리뷰 논문이다. 방 법: 제왕절개 분만을 위한 척수마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심 및 구토를 예방하기 위한 침관련 치료에 대한 randomized clinical trials(RCT's)를 검색하기 위해 2008년 3월까지 수록된 6개의 데이터베이스(MEDLINE, EMBASE, The Cochrane Library, CINAHL, AMED and PsycINFO)를 검색하였다. 논문의 선정 기준은 원저이며, 플라시보 대조군을 설정한 무작위 임상시험이고, 오심 또는 구토에 대한 결과가 실려 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 과: 총 5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각 논문들의 연구방법은 일반적으로 좋은 편이었다. 5개의 논문들을 종합한 결과는 수술중 오심 발생률(OR=0.468, 95%CI:0.250 -0.876, P=0.018), 수술 후 오심 발생률(OR=0.616, 95%CI:0.042-0.942, P=0.026), 수술 후 구토 발생률(OR=0.640, 95%CI:0.432-0.948, P=0.026)이 침관련 치료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적었다. 결 론: 본 문헌 고찰을 통해 제왕절개 수술을 위해 시행한 척수 마취로 인해 수술중 또는 수술후 발생한 오심 및 구토에 대해 침관련 치료가 예방효과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