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해역에서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유출 사고에 의해 생성된 타르볼 방제작업
Response Activities for Tar Ball Pollution from the 'Hebei Spirit' Oil Spill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Vol.12 No.4
-
2009.01279 - 283 (5 pages)
- 0
2007년 12월 7일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유출 사고로 약 12,547 kL의 기름이 해상으로 유출되어 서해안의 해안선이 광범위하게 기름으로 뒤덮이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사고발생 며칠 후부터 타르볼이 서남해안에서 관측되었으며, 이에 대한 방제를 위해 해양경찰(KCG)은 해상에서는 뜰채 및 그물끌기 방법을 이용하였고, 해안에서는 그물치기, 주워내기, 쓸어 담기 등 3가지 방제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물막 치기 방법은 해안이 타르볼로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사고당시의 계절이 겨울이었던 점은 타르볼이 쉽게 굳어 자원봉사자나 주민들이 주워 내거나 쓸어 담는데 큰 이점이 될 수 있었다.
Approximately 12,547 kL of oil from the tanker 'Hebei Spirit' released into the western sea of Korea, which subsequently reached and covered extensive areas of the western coastlines of Korea. In the following days great numbers of tar balls hit the southwestern coast. Three different cleanup methods were used to mediate the southwestern coastline tar ball pollution by Korea Coast Guard (KCG) net setting, manual pick up, and sweeping them up. Net setting was useful in protecting coastlines from being hit by tar balls. The cold weather in winter conditions helped the tar ball response efforts because it caused them to harden, allowing them to be swept up from beaches and to be gathered up by han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