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국발효홍삼 분말 급여에 의한 흰쥐의 혈청 지질 농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ascus purpureus-Fermented Korean Red Ginseng Powder on the Serum Lipid Levels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Vol.38 No.9
-
2009.011153 - 1160 (8 pages)
- 0
Monascus purpureus KCCM 12002 홍국균으로 발효시킨 홍국발효홍삼 분말을 식이 중에 1%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흰쥐에 급여한 후 혈청 임상생화학적 특성과 조직 내항산화 활성 및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음료섭취량은 각 실험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 조직 총 중량 및 상대 중량은 다른 실험 군에 비해 홍국발효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 손상 임상지표인 AST 및 $\gamma$-GTP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홍국발효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 현저하게 저하하였으나, ALT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혈중 총 지질 및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silymarin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는 감소경향을 보인 반면 홍국발효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silymarin, 홍삼 분말 및 홍국발효홍삼 분말 투여 군들에서 모두 저하경향을 보였다.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홍국발효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의 비로 나타내는 동맥경화지수(AI)는 대조군에 비해 Silymarin 및 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홍국발효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간 조직의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홍국발효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silymarin 및 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는 감소경향을 보였다. 특히 홍국발효홍삼은 간 조직내에서 높은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조직 내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glutathione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silymarin 및 홍국발효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만 증가경향을 보였다. 간 조직의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혈관을 중심으로 간 소엽 구조가 잘 유지되었으며, 간세포들은 풍부한 호산성 세포질과 둥근 핵을 가지고 있었고 간세포판은 대부분 한 층으로 잘 유지되어 있었으며, silymarin, 홍삼 분말 및 홍국발효홍삼 분말 투여 군에서도 대조군과 같은 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홍국발효홍삼은 항동맥경화 작용뿐만 아니라 간 조직 내 항산화물질 증가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경감시킴으로써 향후 간 독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기초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Monascus-fermented Korean red ginseng (MFRG), fermented by Monascus purpureus KCCM 12002, may be an ideal candidate for the hepatoprotectic, hypolipidem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Effect of MFRG powder on these parameters in rats was investigated.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and water consump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otal and relative weights of li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FRG group than that in other groups. The activities of AST and $\gamma$-GTP were highly lowered in MFRG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tents of serum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silymarin group an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FRG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tended to be lowered in RG group. Serum content of total cholesterol tended to be lowered in silymarin, RG, and MFRG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HDL-cholesterol contents was on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MFRG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At the same time, atherogenic index (AI) was also significantly lowered in silymarin, RG and MFRG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is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MFRG group. Content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the liver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MFRG group and tended to lowered in silymarin and RG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hepatic glutathio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ilymarin and MFRG groups. Hepatic morphology in all experimental groups revealed clear-cut hepatic lobules with the uniform pattern of the polyhedral hepatocytes radiating towards the periphery from the central vei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FRG may have anti-atherogenic index (AI)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normal dietary feeding rat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