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량제한을 갖는 중첩형 대기행렬 네트워크의 성능 범위분석
A Boundness Analysis of Performance on the Nested Queueing Network with Population Constraint
- 한국정보과학회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Vol.36 No.4
-
2009.01239 - 246 (8 pages)
- 0
각 계층 네트워크가 세마포에 의하여 용량제한을 갖는 중첩형 대기행렬 네트워크의 평균대기시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중첩형 대기행렬 네트워크는 고객의 대기시간 관점에서 보다 간단한 대기행렬 네트워크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첩형 대기행렬 네트워크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하위계층의 흐름이 상위 계층의 상태에 의존적이며, 제한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대기행렬 네트워크는 성능분석을 정확히 할 수 없기 때문에, 변환된 중첩형 대기행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평균대기시간에 대한 하한과 상한을 분석하고자 한다. 모의실험에 관한 측정은 도착분포가 단계형태 분포로서 포아송, 얼랑 그리고 초지수분포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렇게 구한 범위는 추후에 좀 더 근접한 근사치를 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mean waiting time on the nested open queueing network, where the population within each subnetwork is controlled by a semaphore queue. The queueing network can be transformed into a simpler queueing network in terms of customers waiting time. A major characteristic of this model is that the lower layer flow is halted by the state of higher layer. Since this type of queueing network does not have exact solutions for performance measure, the lower bound and upper bound on the mean waiting time are check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mean waiting time in the transformed nested queueing network. Simulation estimates are obtained assuming Poisson arrivals and other phase-type arrival process, i.e., Erlang and hyper-exponential distributions. The bounds obtained can be applied to get more close approximation using the suitable approach.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