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화 전략과 대학생들의 의류제품 쇼핑성향
Personalization Strategies and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s
- 한국의류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ol.33 No.6
-
2009.01949 - 957 (9 pages)
- 0
패션산업은 다양한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고객 만족을 극대화 시켜야 하는 산업이다. 고객 지향적인 마케팅 활동을 위하여 개별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개인화 전략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요인분석, 정준상관분석,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의복 쇼핑성향과 개인화 변수군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개의 유의한 정준상관함수가 도출되었다. 유행혁신성과 가격의식이 높은 소비자들은 판매촉진 개인화와 개인화된 고객 관리를 동시에 높게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의식과 의복 동조성향이 높으면서, 유행혁신성이 낮은 소비자들은 개인화된 제안서비스와 사이즈 맞춤 개인화를 동시에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적 연구에는 또한 의복 쇼핑성향에 따라 군집화된 집단간 개인화 전략의 선호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의복 쇼핑성향의 세분집단별로 요구되는 개인화 전략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The fashion apparel industries have demanded to be extremely consumer-oriented. Therefore, the need of personalization ari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and various personalization strategies provided in the apparel shopping process. A total of 4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and ANOVA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level of demand for "sale-promotion personalization" and "personalized customer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 level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price consciousness. Consumers who seek for high level of "personalized advice" and "personalized fit" were likely to be price conscious and conforming to clothing but not innovative in terms of fashion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group differences were also reported in the study. In personalizing of apparel products, distinctive but relevant strategies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consumer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