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플랑크톤 일차생산력의 새로운 시간 적분 알고리즘
Time Integration Algorithm for the Estimation of Daily Primary Production
- 한국해양학회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Vol.15 No.3
-
2010.01124 - 132 (9 pages)
- 3
해양 식물플랑크톤 일차생산력의 전 지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자료 처리상의 어려움 때문에 국내에서는 신뢰할만한 자료가 많지 않다. 식물플랑크톤 일차생산력은 시간-수심 적분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단위 면적당 하루 일차생산력을 구하지만, 시간 적분에 대한 연구결과는 많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 시간당 일차생산력을 시간 적분하여 하루 일차생산력을 계산하는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새만금호를 대상으로 모델의 실효성을 검정해 보았다. 검정 결과, 시간 적분 모델이 일사량 실측치를 대입하여 합산한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일차생산력 계산을 위한 기초 광량 자료는 변화가 심한 일 자료보다 한 달 또는 한 주간 평균 자료를 대입하는 것이 더 신뢰성 있는 결과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차생산력 수직적분은 수직적으로 불균일한 식물플랑크톤 분포 때문에 어려움이 있으나, 엽록소 분포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수식화한 다음, 각 수식을 시간 적분한 일차생산력 모델과 합성하여 적분하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spite of the global importance of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some primary production data in Korean coastal waters still need to be better processed. The daily rates of water column primary production is generally estimated by integrating the primary production per unit volume over time and depth, but efforts for time integration algorithm have been conducted insufficiently. In this study a mathematical equation evaluating daily primary production integrated over time of a day is propos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is tested on Saemangeum Lake. The daily primary productions computed with the proposed equation were nearly the same with the results numerically integrated by substituting solar irradiance data. It was suggested that better estimation of primary production would be obtained by using monthly or weekly means of solar irradiance rather than more variable daily data. Because of the vertically heterogenous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t's hard to integrate the equation over depth to give the daily rates of primary production per unit area of water surface. However, the problem would be solved if, after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was classified into several patterns and reduced to mathematical formula, every composite function of time integrated equation and chlorophyll distribution equation was integrated successfull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