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필락시스 반응과 비만세포 활성화에 대한 한국전통약제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everal Korean Traditional Herbs on Anaphylactic Reaction and Mast Cell Activation
- 한국현미경학회
- Applied Microscopy
- Vol.40 No.4
-
2010.01201 - 209 (9 pages)
- 0
한방에서 사용되는 약재 중 가자와 지모, 단삼은 면역조절 및 항암효과, 항염증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비만세포와 관련된 아나필락스를 이해할 수 있는 세포학적 기전에 대한 가자와 지모, 단삼의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아나필락시스 반응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시험관내 실험과 생체 실험을 통하여,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비만세포 활성화 및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compound 48/80에 의한 전신성 아나필락시스와 귀부종 반응,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하였다. 2) Compound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과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가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3) Compound 48/80에 의한 흰쥐 복강 비만세포내로의 칼슘 유입이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자와 지모,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비만세포 탈과립과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 비만세포내로 칼슘유입을 억제함으로써 compound 48/80에 의한 아나필락시스와 IgE에 의한 피부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가자와 지모, 단삼은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orean traditional herbs, especially Anemarrhena asphodeloides (A. asphodeloides), Salvia miltiorrhiza (S. miltiorrhiza), and Terminalia chebula (T. chebula) have been known to have the immunomodulatory, anti-tumo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direct cell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mast cell-mediated anaphylaxis-like reaction has poorly been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A. asphodeloides (MEAA), S. miltiorrhiza (MESM), and T. chebula (METC) on anaphylactic reaction were investigated. Using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the influences of MEAA, MESM, and METC on the compound 48/80-induced anaphylaxis-like reaction and mast cell activation, and IgEmediated PCA were examined. Results are below; 1) MEAA, MESM, and METC significantly inhibited systemic anaphylaxis-like reaction, ear swelling response, and IgE-mediated PCA. 2) the compound 48/80-induced mast cell degranulation, histamine release of 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pretreatment with MEAA, MESM, and METC, and 3) the compound 48/80-induced calcium influx in RPMC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pretreatment with MEAA, MESM, and METC.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AA, MESM, and METC may be an activity to inhibit the compound 48/80-induced or anti-DNP IgE-mediated anaphylactic reactions by blocking histamine release and calcium uptake into RPMC. MEAA, MESM, and METC potentially may serve as an effective therapeutic tool for allergic diseases.
(0)
(0)